[한편의 시] 밥 한 톨

- 가톨릭 거리전교/기도운동을 보며
- 북한의 저항작가 "반디"를 위해 기도하다..

 

밥 한 톨                               - 김 재 홍 -

 

북녘 땅에 신앙의 자유를 요구하는
명동대성당 집회를 기다리며
육개장 사발면 하나와
햇반 작은 것 하나 사서
뜨끈뜨끈하고 맛있게 먹었다.


이마에 흐르는 땀을 닦고
전자레인지는 편의점 것이 제일 좋다 생각하며
혈압약까지 잘 챙겨 먹었다.


해월 선생은 사람이 하늘이라고
사람 살리는 게 밥 한 술이라고 외쳤는데
밥알 한 톨이 이 틈에 끼어 빠지지 않는다.


이것도 밥이라 뱃속에 넣으려
이리저리 혀를 놀리다가
"걸친 것은 누데기 얼굴이야 까마귄데
꽃제비라 우리 이름 어이 이리 고울까"*
하는 북녘 시를 읽다가,


배고프면 죽는다는 사실,
못 먹으면 죽는다는 사실,
밥을 먹듯 말씀을 먹고
새벽마다 기도하던 사람들이
백 년 오십 년 십 년 이미
모두 모두 죽었다는 사실을..

 

 

* 시집 <붉은 세월>과 소설집 <고발>을 쓴 재북 작가 반디의 시 <꽃제비 노래> 중에서

핫 뉴스 & 이슈

[지만호 칼럼] 추석명절 보수단체 활동가는 배고프다!
추석은 우리고유의 명절이다. 보름달처럼 풍성한 한가위라 말하지만 보수단체 활동가들에게는 배고픔의 명절이다. 소위 진보 정권시절에 그나마 당근질이라도 해주었건만, 바라고 바라던 보수 정권이 들어서고 나서는 당근이 아니라 뿌리조차 없다. 진보라고 불리던 시민단체에서는, 5년 내내 풍성한 추석 명절 같은 시절로 곳간에 양식은 가득 채워져 있어서 5년의 흉년에도 견딜 수 있으나, 보수라는 시민단체의 현실은 곳간이 텅 빈 상태다. 추운 5년을 견디어 오면서, 좋은 날이 오리라 굳게 믿고 동냥처럼 던져준 당근 몇 조각으로 자존심 버려가며 근근이 버티어 왔었건만 곳간은 여전히 비어있다. 그럼에도 좌경화 되는 나라를 방지하기 위한 생각에서 눈물겨운 보수 지키기 다짐을 하고 있다.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관변단체는 뭔가? 그들이 보수 시민단체만큼 몸으로 행동으로 진보 좌파와의 결전을 하고 있는가? 관계자께서는 배고픈 보수 지킴이들이 아사되지 않도록 연구해주었으면 한다. 부영그룹의 이중근 회장은 고향 친구란 명분으로 억대의 기부금을 주는 세상인데, 공산화를 막고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사수하기 위해 밤낮으로 헌신하는 보수 시민단체 활동가들에게 흔한 쌀이라도 보내주었으면 하는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