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중국 내 한국인 VPN 사용 주의 당부

- 중국 국가안전부, 무차별 개인 정보 수집 나서

 

국가정보원이 중국에 체류 중인 한국인들에게 VPN(가상사설망) 사용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국정원은 27일 중국 정부가 7월 1일부터 개인 전자기기에 대한 검사 권한을 확대했다고 밝히며 이 같은 내용을 공지했다.

 

공지에 따르면 중국 국가안전부가 지난 4월 발표한 '국가안전기관 행정집행절차 규정'에 따라 중국 내 우리 국민이 중국의 국가안보를 해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채팅, 이메일, 사진, 로그인 등 사생활 정보를 일방적으로 수집하고 압류, 벌금 등의 처벌을 내릴 수 있다.

 

특히 VPN을 통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등 중국에서 금지된 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임시 감찰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정원은 중국 내 우리 국민이 사찰을 당할 경우 외교부 영사 보호 핫라인, 주중 한국대사관 또는 총영사관에 즉시 도움을 요청할 것을 당부했다.

 

VPN은 “가상 사설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로, 인터넷 연결과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서비스다. VPN은 데이터가 지나가는 암호화된 터널을 만들고 사용자의 IP 주소를 숨겨 온라인 익명성을 보장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의 개인정보 수집 강화 조치가 단순한 국가안보 차원을 넘어 정치적 억압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중국 체류 국민들은 VPN 사용에 보다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김 · 도 · 윤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김정은 단독 배지, 전원회의 석상 첫 등장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10차 전원회의에서 김정은의 단독 배지가 처음으로 등장했다. 이는 김정은 체제 출범 10년을 맞아 그에 대한 우상화 작업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간 북한에서는 김일성과 김정일의 배지가 주로 착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번 전원회의에서 참석 간부들이 일제히 김정은 단독 배지를 달고 나온 것은 주목할 만한 변화다. 이는 김정은 체제의 공고화와 그에 대한 개인 숭배 작업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북한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향후 헌법이나 당규약 등에서 김정은 우상화 관련 내용이 반영될 가능성을 높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최근 북한 매체들은 김정은 초상화가 김일성, 김정일 초상화와 나란히 배치된 모습을 보도하기도 했다. 이는 선대 지도자들에 대한 '띄우기'에서 벗어나 김정은 중심의 독자적인 우상화 작업에 힘을 쏟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북한 체제 강화를 위한 김정은 개인 숭배 강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향후 북한 내부에서 김정은 배지 착용이 의무화되는 등 그에 대한 우상화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김정은 체제하에서 북한 사회 전반에 걸친 통제력 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김 · 도 · 윤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