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탄(防彈)이 절실하긴 한데... 자넨 말구!!!

- 러-북 밀월(蜜月), 한반도를 넘어 세계의 위협으로...
-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체결
- “사실상 군사동맹 관계 복원”···강력한 대비책 요구
- ‘나라 안보’ 딴지 걸며 ‘애비 방탄’만 골몰하는 무리...
- “조속한 법의 심판으로 파탄(破綻)” 저잣거리 아우성

 

 

“북러 조약 발표한 날, 북한군 또 군사분계선 침범”

합동참모본부는 21일 “어제(20일) 오전 11시쯤 중부전선 비무장지대 내에서 작업을 하던 북한군 수명이 군사분계선을 침범했다”며 “우리 군의 경고사격 및 경고사격 이후 북상했다”고 했다...

 

  “작업 중 단순한 월경(越境)”에 무게를 둔다지만, 무심히 넘길 수는 없다. 잦은 저들의 침범에 우리 ‘국민의 군대’도 예의 주시하는 모양새다. 그리고...

 

  ▶북-러 “전쟁 상태 처하면 지체없이 군사 원조 명문화”

  ▶북-러, 사실상 군사 동맹···푸틴 “군사기술 협력도 배제 안해”

  ▶“침략 위협 받아도 협력” 한미훈련 빌미 군사지원 가능성

  ▶김정은 “북-러 관계 최고 전성기···러시아 정책 무조건 지지”

 

  로스께 나라의 ‘푸 차르’가 반도(半島) 북녘 ‘최고 돈엄’(最高 豚嚴)을 찾았다. 전 세계가 주시했다.

 

  “푸틴 방북, 6·25 이후 美 최대 위협”

 

  러-북 정상회담에 대한 평가 중 가장 극적이고, 많은 의미를 담고 있는 기사 제목이었다.   하지만, 어디 양키나라와 다른 나라가 받는 위협의 정도를 우리가 받아들이는 바와 과연 비교할 수 있을까. 주목되는 기사 토막을 인용한다.

 

북·러가 조약에 따라 군사 협력을 강화함에 따라 러시아가 북한에 첨단 기술 등을 이전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재진입핵 추진 잠수함 기술 등이다. 북한이 공을 들이고 있는 군사 정찰위성 발사 기술 협력도 거론된다...

 

 

  “가능성, 거론” 정도를 넘어, 거의 확실시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한데...

  “큰일 났다!”고 탄식만 할 때가 아니다. 강력한 대비책을 세우고 실행해야 하는 건 그냥 쌩기초다.

 

  소총탄으로부터 장사정포(長射程砲)는 물론 각종 탄도미사일, 특히 핵폭탄을 막아내야 하는 과업이 더욱 엄중해졌다.

  이와 함께 ‘소극적인 방탄(防彈)’을 벗어나 적극적으로 적(敵)의 의지를 꺾을 수 있는 방책에 대한 공감대도 형성되고 있질 않은가. 한-미 동맹에 기반한 확장 억제력을 넘어 자체 ‘핵 무장’을 서두르자는 거다.

  ‘푸 차르-돼지새끼’의 만남은 우리에게 커다란 부담과 동시에 자극이 되고 있음이 틀림없다.

 

  이렇듯 북녘 돼지새끼 일당의 도발에 대응하여 ‘나라 방탄’을 더욱 튼튼히 해야 하는 건 당연지사 아닌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제 적, 로스께 나라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한 입질이 세간을 놀라게 했었다.

 

“6개월 초보 정치인<젤렌스키>이 대통령이 돼서 나토(NATO) 가입을 공언하고 러시아를 자극하는 바람에 충돌했다...”

 

  그 이후에도 “아무리 더러운 평화라도 이기는 전쟁보다 낫다”느니, “우리 북한의 김정일, 또 김일성 주석의 노력...” 등등 운운하던 ‘집권 야당’(執權 野黨)의 대표가 엊그제까지도 잠꼬대를 계속했단다.

 

“싸워서 이기는 것은 하책이다.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어렵지만 가장 튼튼하고 또 유능한 안보... 어렵지만 대화와 소통을 재개하고 흔들림 없이 평화의 길로 나아가자...”

 

  이어서, 작금의 ‘푸-돈(豚)’ 정상회담’과 관련, 그 ‘집권 야당’(執權 野黨) 대변인은 왈왈대길...

 

“<북-러 동맹 부활은> 러시아·중국과 거리를 뒀던 윤석열 정부 외교가 초래한 결과... 평화가 곧 안보다. 오직 평화를 위한 윤석열 정부의 외교 정책 대전환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

 

  쉽게 말하자면 결론은... ‘대화(對話) 주도 국방’‘굴종(屈從) 주도 평화’를 강조·유도하는 바에 다름 아니다. “진정한 평화는 강력한 힘으로 뒷받침될 때만 지켜낼 수 있다”는 만고(萬古)의 진리를 그저 ‘냉전주의자’(冷戰主義者)의 한낱 헛소리쯤으로 치부하지 않고서야...

  결국, 북녘 ‘비핵화 완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문주주의’(文主主義) 시절로 돌아가자는 설레발이다. 그야말로 철딱서니 없는, 또는 반역(叛逆)에 버금가는 넋두리 아니던가.

 

# 북녘 ‘비핵화 완성’ 과정

핵무기를 ①만들어 쌓아 두면서[備核化] ②그 양과 질을 계속 늘려오고 있으며[肥核化] ③깊숙이 꼬불친 가운데[秘核化] ④ 필요한 거리만큼 날려 보낼 확실한 수단까지 마련하고[飛核化] 있는 중이다.

 

   그·런·데...

 

 

  ‘나라 방탄(防彈)’에는 저렇듯 계속 딴지를 걸면서도, ‘특정인’을 위한 ‘방탄’(防彈)에는 무섭게 달려들고 있다지 뭔가. ‘특정인’이라...

 

강민구 최고위원은 이날(1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아버지는 이재명 대표님이십니다”라며 “이 대표님께선 집안의 큰 어른으로서 총선 직후부터 영남 민주당의 발전과 전진에 계속 관심을 가져주셨다”고 했다...

 

  아부(阿附)하기로 자신의 넋까지 쫓아버린 작자가 그 ‘애비’ 면전(面前)에서 짖어댔단다. 짖어댄 작자나 듣는 ‘애비’나 비위(脾胃)가 어지간하게 막강하다.

 

  그렇다... ‘특정인’이야 당연히 그 ‘애비’란 사실을 이 나라 사람들은 너무도 잘 알고 있다. 이 나라 의전(儀典) 서열 여덟 번째인 ‘집권 야당’(執權 野黨) 대표다. 7개 사건, 11개 범죄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아무리 치사한 방탄이라도, 솔직한 깜빵 행보다 낫다는 건 현실입니다...”

 

  아무개 ‘시절 논객’의 한마디가 정문일침(頂門一針)이었다.

  근간 ‘집권 야당’(執權 野黨)의 거의 모든 대갈빡 굴리기, 입질, 눈짓, 손놀림, 발걸음이 ‘애비’ 사법리스크 방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들 수군거린다. 즉 일사불란(一絲不亂)한 방탄(防彈)이란다. 혹시 그 ‘애비’에 대한 ‘집단 효도(孝道)’? 그리고...

 

  그 ‘집단 효도(孝道)’를 위해 동원하는 게 ‘다수결’(多數決)이라고.

 

  “민주, 방송 4법 단독 처리”

  “채상병 특검법, 野 주도로 법사위 소위 강행 처리…내일 전체회의 상정”

  “이재명 수사 검사들 민주당 탄핵 추진”

  “더 독해진 노란봉투법, 野 상임위 단독 상정”

 

  어디 이뿐이겠는가. 열 손가락·발가락으로도 헤아리기 힘들 지경 아닌가. 저들에게 ‘전가의 보도’(傳家의 寶刀)가 된 ‘다수결’(多數決)로 인한 폐해는 고스란히 나라와 ‘국민’(國民)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는 게 저잣거리의 아우성이다.

 

  그 시대착오인 ‘집단 효도(孝道)’가 결국 ‘법치(法治) 문란(紊亂)’ 이어진다는 건 정설(定設)이다. ‘국민’(國民)들에겐 막중한 ‘불효’(不孝)·‘불충’(不忠)에 다름 아니다. 그래서 그런지 요즈음...

 

 

  ‘국민’(國民)들은 격노(激怒)의 마음을 모아 외치고 있다지 않은가.

 

  “방탄(防彈)? ‘빠른 재판(裁判)으로 파탄(破綻)’이 정답이다!”

 

  “다수결(多數決)로 망할 나라, 거부권(拒否權)으로 구해내자!”

 

李 · 斧 <主筆>

핫 뉴스 & 이슈

[한반도 르포] 통치 수단마저 무너지는 북한
북한이 자랑으로 여기던 사회주의 배급 체제가 완전히 무너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의 김영호 통일부장관이 정부 여당의 의원총회에 참석하여 이 같은 내용을 현안보고 했는데요. 북한이 최신동향을 어느정도 파악한 내용이어서 이것의 파장이 어떨지에 굉장한 관심이 모여지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경제 제도의 변화가 아니라 북한이 더 이상 예전의 방식으로는 지탱하기 어려운 지경에 도달한 것이 아닌지 하는 척도가 될 수 있고, 또한 배급제의 파괴가 주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더욱 가증시킬 수도 있는 사안이어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집니다. 북한이라는 특수한 사회는 먹는 것과 사는 곳 등 의식주로 주민들을 통제하고 여기에 더해 공포라는 권력의 탄압으로 유지가 되는 사회인데, 일단 먹고사는 문제가 당국의 의도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은 통치시스템에 심각한 균열이 발생하고 있다는 증명입니다. 최근 들어 저희 방송에서도 언급한 적이 있는데요. 주민들의 주택에 김정은 위원장이 상당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도, 먹는 문제가 제대로 안되는 상황에서 사는 곳까지 문제가 발생하면 민심은 크게 동요를 하기 마련이기 때문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라고 보여지는데요. 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