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출신 이성윤이 쏘아 올린 사법 파괴의 공

- '김건희 종합 특검법' 발의로 법조계 파장

 

갓 개원한 대한민국 국회에서 논란의 중심에 선 '김건희 종합 특검법'이 발의되어 법조계와 정치권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 법안은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다양한 의혹들을 특별검사를 통해 조사하겠다는 목적으로,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성윤 의원이 대표 발의했다.

 

이 법안은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을 비롯하여 코바나컨텐츠 전시회 기업 후원 의혹 등 총 7대 의혹을 수사 대상으로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이 법안은 현행 사법 체계와 맞지 않는 여러 조항들을 포함하고 있어 법조계에서 큰 논란이 되고 있다. 전담 영장 법관 지정 및 전담 재판부 집중 심리, 자수·자백 형 감면 등의 내용이 포함된 것이다.

 

이 의원은 과거 문재인 정부 시절 서울중앙지검장으로 김 여사의 주가조작 의혹과 코바나컨텐츠 후원금 의혹 수사를 지휘한 바 있으며, 이번 특검법 발의로 그에 대한 구원(舊怨)을 해결하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이 특검 후보 2명을 추천하고 대통령이 이 중 1명을 임명하는 방식으로, 수사 인력 100여 명을 투입해 최장 6개월 동안 수사를 진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 법안에 대해 법조계 일각에서는 사법 체계를 무너뜨릴 수 있는 위험한 법안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특검 구미에 맞는 판사를 지정하라는 압력으로 해석될 수 있는 영장 전담 판사 지정 요구와 재판 진행 과정에서의 ‘내로남불’ 가능성 등이 우려되는 것이다.

 

이 법안에 포함된 자수·자백 형 감면 또는 면제 조항은 한국 사법 체계에서 명시적으로 허용하지 않는 플리바게닝을 도입한 것으로, 이 역시 논란의 여지가 있다. 공범임에도 불구하고 형량이 다를 경우 헌법상 평등의 원칙에 위배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처럼 '김건희 종합 특검법' 발의는 대한민국 법조계뿐만 아니라 정치권에도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으며, 법기술자들과 정치검찰 출신들에 의한 사법 체계 파괴 시도라는 국민적 분노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이 · 상 · 만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김정은·푸틴, 역사적 후퇴로 가는 정상회담 개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역사적인 정상회담을 개최했다. 이번 회담은 양국 간의 관계 강화 외 국제적 상황에 견주어 역사의 후퇴로 가는 것은 아닌지 주목된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양측 대표단이 배석한 가운데 회담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낮 12시 40분경 로이터통신을 통해 보도되었다. 스푸트니크 통신은 회담 장소가 금수산 태양궁전임을 전했다. 북한 측에서는 김덕훈 내각 총리, 최선희 외무상, 박정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용원 당 조직비서, 김성남 당 국제부장, 임천일 러시아 담당 외무성 부상이 참석했다. 러시아 측에서는 데니스 만투로프 제1 부총리, 알렉산드르 노박 에너지 부문 부총리,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보좌관, 안드레이 벨로우소프 국방장관,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 알렉산드르 코즐로프 천연자원부 장관 등이 배석했다. 또한, 로만 스타로보이트 교통부 장관, 미하일 무라시코 보건장관,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주북러시아대사, 알렉세이 크리보루치코 국방차관, 유리 보리소프 로스코스모스(연방우주공사) 사장, 올레그 벨로제로프 철도공사 사장도 회담에 참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