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지린성 공원 외국인 피습 사건

- 미국 코넬대 교사 4명 부상, 反외세 정서 우려

 

최근 중국 지린성 지린시 베이산 공원에서 발생한 외국인 피습 사건이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 월요일 이 공원에서 미국 코넬대 출신 교사 4명이 공격을 받아 부상을 입었다.

 

현장 영상을 보면 부상자들이 바닥에 쓰러져 있고, 한 명씩 등과 옆구리에 상처를 누르며 피를 흘리고 있는 모습이다. 이들은 모두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수준의 부상을 입었지만, 이 사건은 중국 내에서 외국인에 대한 잠재적 적대감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목되고 있다.

 

중국 일부 집단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어온 '민족주의'와 '피해자 마인드'가 이번 사건의 배경으로 지적된다. 중국의 근대사에서 겪었던 굴욕적인 경험과 외세에 대한 불신이 극단적인 행동으로 이어진 것이다.

 

특히 중국 관영 매체의 이데올로기 선전이 일부 국민의 '피해자 심리'를 부추겼다는 지적도 있다. 이로인해 중국인들이 외부 세계에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하고 모든 부정적인 사건을 '외세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중국 사회 내부에서도 이러한 성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反외세 정서가 극단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중국 당국도 이번 사건에 대한 신속하고 투명한 조사와 함께 외국인에 대한 안전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장 · 춘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푸틴의 도박과 북러 동맹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이 서명한 '포괄적인 전략적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북러 조약)은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안정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 조약은 사실상 1961년 북한과 소련 간 체결된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에 관한 조약'의 자동군사개입 조항을 부활시키며, 한반도 유사시 러시아의 군사 개입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 푸틴은 과거 자유민주세계와의 교류와 협력을 통해 러시아의 정치경제를 발전시켰다. 하지만 이번 북러 조약은 푸틴의 이러한 행보에 역행하는 결과로, 러시아를 다시 전체주의 세력과 손잡게 만들었다. 이는 자유민주주의 세계에 대한 푸틴의 배신이며, 국제사회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 북러 조약 제4조는 "쌍방중 어느 일방이 개별적인 국가 또는 여러 국가들로부터 무력침공을 받아 전쟁상태에 처하게 되는 경우 타방은 유엔헌장 제51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러시아 연방의 법에 준하여 지체 없이 자기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수단으로 군사적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동맹을 강화하고, 한반도 유사시 군사적 개입을 통해 북한을 지원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한반도의 자유통일을 염원하는 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