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성’ 갖춘 잡X 솎아내기, 그리고...

- 선거마다 ‘고르기’는 할 수 없을 팔자?
- 이번 판에서 ‘도덕성’을 가늠하자는데...
- ‘도둑성’ 가장 충만한 ‘잡룡’(雜龍)은?
- 대한민국 ‘서자’(庶子)도 꼭 솎아내자!

 

  이번‘에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고르기’가 아니다. 이른바 ‘민주화’ 이후의 선거판에서 제대로 ‘고르기’를 해 본 적이 있었는가마는...

  아마 이 추세로 나가면 이 나라와 국민들이 ‘고르기’를 하지 못하는 건 팔자소관(八字所關)이 될 듯도 하다.

 

  “이번 대선은 후보의 도덕성이 첫째 기준이 될 것...”

 

  아무개 ‘잡룡’(雜龍)께서 요즈음 그 개성 넘치는 입에 달고 다니시는 말씀이다. 그 특정인을 폄하하거나 비난할 마음은 추호도 없음을 먼저 밝힌다. 단지 상황을 설명하고자 할 뿐...

  분명 원론적으로는 백번 옳은 말씀이다. 하지만, 그분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국민들조차도 고개를 갸우뚱할 듯하다. 이번 판에 ‘도덕성’을 논하는 자체가 다소 의아하다는 나름대로의 소견이다. 아니, 많은 국민들도 동의할 거라고 믿는다. 그래서 그런지...

 

  ‘오십보소백보’(五十步笑百步)나 ‘X 묻은 개가 거름 묻은 돼지 나무란다’, 또는 ‘도찐개찐’ 등등... 고금(古今)을 관통하는 문구들이 저잣거리에서 회자(膾炙)되고 있단다. 또한, 이와 관련해서...

 

 

  근간에 각 분야의 여러 유명인(有名人)들과 유수한 단체들이 ‘잡룡’(雜龍)들에 대해 공개적으로 지지를 표명하는 기사를 보면서 느끼는 바가 많다고들 한다.

  “고명(高名)하신 저분이 그 ‘잡룡’(雜龍)을 지지한다고? 그럼 나도 따라가야지!”라며 마음을 굳히는 국민들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고.

  오히려... “저분은 안 그럴 줄 알았는데, 안목(眼目)이 그 정도밖에 안 돼?”하며, 배경과 평소 품격을 우선 의심하기 십상이라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도덕성’정도의 차이는 분명 있을 게다. 격(格)이 현저하게 다른 경우도 있질 않던가. 그것조차 부정하지는 않으련다. 그러나...

 

“그들은 대체로 교양도, 지식도, 철학도, 세계관도, 인내심도, 가정교육도, 감성도, 지성도, 윤리관도 일반인보다 낫지 않다. 그들의 공통점은 단지 거대한 탐욕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끝없는 잔인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외국의 어느 글쟁이의 ‘권력자’에 대한 견해라고 했다. ‘권력 따먹기’가 한창 진행 중인 이 나라의 현 상황에 비추어 크게 부정할 수는 없을 거 같다. 그래서 말인데...

 

 

  지금 돌아가는 판은 그 무슨 ‘도덕성’(道德性), 이딴 걸 갖춘 인물 ‘고르기’가 결코 아니다. 그저 ‘도둑성’을 갖춘 ‘잡(雜)X’을, 그것도 두둑한 순서에 입각해서 ‘솎아내야’ 하는 게 맞지 않겠나. 어디서 많이 듣고 본 게임의 법칙 비슷하다.

  그 무슨 ‘오징어 게임’ 인기의 비결(祕訣)이 여기에도 숨겨져 있었던 건 아닌지. 아무튼...

 

  그렇다면, ‘솎아내기’의 결과는 뻔하지 않겠냐고? 글쎄, 국민들의 ‘솎아내기’ 의지와 그 솜씨가 어떤가에 달렸을 것이다. 끝까지 남는 자가 할 수 없이 ‘승자’(勝者)가 된다.

  하긴 그 의지+솜씨와 상관없이 최근 벌어지고 있는 일련의 황당 시리즈에 대해서는 알아챌 만큼 알아챘다고들 한다. 그러나...

 

 

  누구보다도 ‘도둑성’이 충만한 ‘잡룡’(雜龍)께서 상대편을 향해 쉴새 없이 “저 도둑놈 잡아 넣어라!”고 외치고 다니신다. 그 패거리들도 옆에서 화음과 소음을 함께 터뜨리고 있다.

  도둑이 제발 저린 건지, 목소리만 크면 상대방을 제압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인지...

 

  이쯤 하고, 졸고(拙稿) 제목의 ‘그리고...’로 넘어가자. 이건 ‘잡(雜)X 솎아내기’ 가운데에서도 ‘도둑성’ 같은 상대성(相對性)이 결코 용납되지 않는 부분이다.

 

  이 나라 국민들은 지난 4년여에 걸친 세월 동안, 지겹도록 지켜봤다. 바로 ‘1948년 8월 15일 건국된 대한민국의 정권’ 흉내 내기이다. 속칭 ‘문주정권’(文主政權)이라고 불린다. 이제는 막을 완전히 내려야 한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다는데...

  이른바 ‘절대적인 솎아내기’의 핵심 대상은, 아마 이런 유(類)의 작자들일 것이다.

 

태극기를 향해 경례하면서 머릿속으로는 퍼런색 한반도가 그려진 괴상한 깃발을 떠올린다...

애국가를 함께 부르면서, 그 무슨 ‘누구를 위한 행진곡’을 발장단치곤 한다.

 

  그런데...

 

“정권교체 욕구가 높은데, 여든 야든 정권은 교체되는 것... 이재명 후보가 당선되더라도 새로운 정권이 만들어지는 것...”

 

  ‘그 당’ 대표의 안절부절 멘트라고 했다. 과연 그럴까?

  그나마 국민들의 ‘솎아내기’ 권리조차 훔쳐보려는 ‘도둑성’ 높은 교묘한 말따먹기에 불과하다는 건 동네 강아지들도 다 알아차렸다고 한다. 그나 저나...

 

 

  언제까지 ‘고르기’를 하지 못하고, ‘솎아내기’만 해야 하나. ‘뒤집어도 팔자’인 그 ‘팔자’로 굳어지려는가?

 

  국민들에게는 깊어 가는 가을밤이 분노와 시름으로 짧기만 하다.

 

李 · 斧 <主筆>

핫 뉴스 & 이슈

기고만장 이재명, 약일까.. 독일까..
헌정사상 최초로 야당 대표의 체포동의안 가결에 이어, 구속영장 실질심사에서 최종 기각이 결정됐다. 증거인멸의 우려가 구속할 만큼 상당하다고 볼 수 없다는 취지였다. 소위 ‘개딸들’을 비롯한 지지자들은 환호했고, 이재명 대표는 구치소를 나와 성명을 발표한 뒤 녹색병원으로 돌아갔다. 재판정에 들어갈 때 침묵하던 모습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였다. 이 대표의 구송영장 기각이 정치적 시각에 있어 약일지 독일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들이 대세다. 친명, 비명 내지 반명으로 사분오열된 당 내부의 어수선한 분위기를 차치하더라도, 일반상식에 입각해서 대다수 국민들이 이를 어떻게 볼지가 관건이다. 세기의 재판을 두고 고심했던 재판부는 “위증 교사 및 백현동 개발 사업의 경우 현재까지 확보된 인적·물적 자료에 비춰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했다. 대북 송금 혐의의 경우 “피의자의 주변 인물에 의한 부적절한 개입을 의심할 만한 정황들이 있기는 하다”면서도 이 대표가 직접적으로 개입하였다고 단정할 만한 자료는 부족한 점 등을 들어 “증거인멸의 염려가 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했다. 당초 검찰은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쌍방울 불법 대북 송금’ ‘백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