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꼰대 정담(政談)] 돼지의 격노(激怒)가 ‘인민의 삶’ 때문이라고?

- 최근 ‘경제 실패’ 책임 물어 간부들 질책
- 그 모습을 여과 없이 방송했다는데...
- 북녘에서 ‘인민들 가난’의 의미는 무엇일까
- ‘인도적 지원’의 몽상(夢想)에서 깨어나라!

李 · 坤 · 大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영문 표기를 ‘체어맨(chairman)’에서 ‘프레지던트(president)’로 바꿨다... [통치이념을] 인민대중제일주의로 바꾸고 시스템 통치를 강화하고 있다...”

 

  엊그제 국가정보원님께서 ‘문의(文意)의 전당’[정보위원회]에 보고하신 내용 중 일부라고 한다. 언제 적부터 이 나라 꼰대들은 정보기관의 힘과 무서움을 경험으로 학습해 온 탓에 함부로 부르질 못하는 버릇이 있다는 점을 먼저 고(告)한다. 그건 그렇다 치고...

 

  북녘 ‘최고 돈엄(豚嚴)’의 양키식 표기가 달라졌다고 해서, 크게 바뀌는 게 있을까? 더구나 ‘인민대중제일주의’‘시스템 통치 강화’라는 언사 앞에서는 그저 썩은 웃음만 나올 뿐이다. 엊그제 아무개 일간지의 기사 토막이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경제 실패 책임을 물어 간부들을 질책하고 화를 주체 못 하는 모습을 북한 매체들이 여과 없이 내보냈다. 김정은은 얼굴이 붉게 상기돼 손가락질을 하고 손을 책상에 내려치는가 하면 간부들을 일으켜 세워 공개 망신을 줬다. 당 경제 책임자는 임명 한 달 만에 해임했다..."

 

 

  북녘의 그 무슨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2차 전원 회의’[1월 8일~11일]라는 데서 벌어진 일이라고 전한다.

  글쎄... 실패했다는 경제가 어떤 걸까? 북녘 인민들의 ‘먹고사는 일’인가? 모르긴 몰라도 ‘돼지저금통’을 제대로 채우는데 턱없이 부족했다는 것일 게다. 결코 북녘 인민들의 묵은 ‘배고픔’, 달리 말하면 가난을 해소시키지 못해서는 아니지 싶다.

 

“너무 가난하면 꿈도 없고 적(敵)도 없다... 가난하면 적(敵)을 선택할 수가 없다. 우선은 가난에 지배당하고, 결국에는 운명에 지배당하게 된다...”

 

  이건 외국 작가의 말씀이란다. 이 나라 아무개 사회학자는 아래와 같은 글도 남겼다고 한다. 조선(朝鮮) 왕조가 장수할 수 있었던 비결(祕訣)이라고 했다.

 

“사회가 빈곤하면 빈곤할수록 정권을 바꿀 에너지가 사회 내부에서 생성되지 못한다. 반면 정권은 일정한 무력으로 어떤 농민 반란도 진압할 수 있다...”

 

  위의 ‘농민’(農民)을 ‘인민’(人民)으로 바꿔보자. ‘배부르고 등 따스한’ 인민들이 다음에 갖게 될 욕구가 어떤 종류이며, 그 끝이 어떠했다는 건 인류의 역사가 증언(證言)한다. 이 나라도 예외는 아니었다. 따라서...

 

 

  3대에 걸쳐 계속되고 있는 ‘이밥에 고깃국’은 그저 ‘영원한 구호[狗呼 개 짖는 소리]’에 다름 아니다.

  “북녘 세습독재정권은 인민들의 한계적 생존 상황을 또 하나의 통치기반, 최적의 생명 연장의 수단으로 영악하게 활용해왔다”는 학자들의 지적에 동의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북녘 ‘최고 돈엄(豚嚴)’은 왜 불같이 화를 냈을까? 앞에서 언급했듯이 ‘돼지저금통’이 허전한 이유가 우선일 게다. 그리고 너무 뻔한 연극 아닌가.

  인민들의 배고픔[가난]은 전부 아랫것들 책임이고, 자신은 인민을 더 없이 사랑한다는 이미지 조작일 뿐이다. “북한 매체들이 여과 없이 내보냈다”... 감이 확 오질 않나.

 

  또한 인민들의 배고픔[가난]을 미끼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를 완화시키려는 꼼수도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이를 통해 얻는 것은 ‘인민의 삶’과는 무관하게 결과적으로는 ‘돼지저금통’ 배불리기로 이어질 것이지만...

 

 

  여기에서 북녘의 ‘비핵화’(非核化)와 경제 상황을 연계시키는데 까지는 나가지 말기로 하자. 그 무슨 ‘조공(朝貢) 주도 평화’란 것도 식상(食傷)한 화제일 수 있다. 그래서...

 

  좀 더 현실적이지만, 매우 지엽적(?)인 얘기를 꺼내보기로 했다. 엊그제 아무개 일간신문이 단독 보도라고 내보낸 기사의 일부다.

 

“경기·인천·강원 교육청이 최근 통일부에 ‘교육감을 대북 인도적 지원사업자로 인정해 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2월]10일 확인됐다. 현재 통일부의 『인도적 대북지원사업 및 협력사업 처리에 관한 규정』은 대북지원사업자를 법인·단체·지자체로 제한하고 있는데, 이를 교육청까지 확대해 달라는 것이다. 교육청이 직접 대북지원 사업을 벌이겠다는 의미다...”

 

  거기 교육감들이 어떤 분인지는 너무 잘 알려져 있질 않은가. 더 이상의 넋두리는 그만하고, 꼰대가 한 말씀만 올린다.

 

 

  “웃기려고 나선 듯하니, 그저 웃어 주기는 하겠다만... 북녘 ‘돼지저금통’ 채워줄 궁리에 앞서, 돌림병으로 그간 부족했던 우리 아그들 공부 보충할 방법이나 고민해라! 그리고...

  ‘특등 머저리’ 소리가 그리 달콤하게 들리더냐?”

 

<時節 論客>

핫 뉴스 & 이슈

[기자생각] 518, 그늘 속의 영웅들
1980년 5월, 광주에서는 수많은 민간인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민주주의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역사의 어두운 그림자 속에 남겨져 있다. 이들은 역사의 죄인일까.. 당시 광주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국가의 명령에 따라 행동했음은 물론이다. 그들에게 주어진 사명은 내란 진압이었으며, 이는 대한민국의 안정과 보호를 위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들의 선택은 단순히 '좋고 나쁨'의 문제가 아니라, 그 시대 상황 속에서 내릴 수밖에 없었던 어려운 결정이었음을 인정해야 한다. 어쨌던 그들은 역사의 한 장면 속에서 피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던 우리와 같은 국민들이었다. 역사의 재평가는 이러한 목소리를 포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민주주의의 발전과 국가 안보의 중요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은, 대한민국이 직면한 도전을 헤쳐 나가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대한민국은 지금도 여전히 북한의 지속적인 위협과 내부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의 안보를 지키기 위한 준비와 결단력은 한시도 미룰 수 없는 사명임에 틀림없다. 과거의 사건을 통해 얻은 교훈을 바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