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무인기 침투 때 '두루미' 발령까지 90분 이상 소요

- 부대 간 무인기 상황 전파도 지연
- 합참 스스로 ‘작전 지침’ 위배

 

북한 무인기의 영공 침범 당시 무인기 대비태세 발령까지 1시간 반 이상 걸렸다는 내용이 사후 점검에서 드러났다.

 

7일 합동참모본부(합참)의 북한 무인기 대응에 대한 전비태세 중간 검열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지난달 26일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당시 군 레이더에 첫 항적이 포착된 지 6분 뒤에야 레이더 운용 요원이 무인기 침범 사실을 처음 인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합참에 따르면 군사분계선(MDL)을 향해 내려오는 특이한 항적이 레이더상으로는 10시 19분께 포착되었고 군이 무인기로 인지한 시간은 오전 10시 25분께였다.

 

레이더상의 항적은 김포와 파주 사이 한강을 따라 서울로 향하는 북한 무인기였는데, 군이 이에 대해 무인기 대응 대비태세인 '두루미'를 발령하기까지는 1시간 반 이상 소요돼 정오께가 되어서야 발령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무인기가 이미 서울로 진입해 대통령 경호를 위한 비행금지구역인 P-73 등 서울 상공을 가로지른 뒤에야 대응 대비태세가 발령된 것이다.

 

합참은 중간 검열을 통해 서울 방어 임무를 맡은 수도방위사령부는 무인기를 탐지·인지한 전방의 육군 1군단이나 합동참모본부로부터 무인기 침범 사실을 전달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방사는 오전 10시 50분께 자체적으로 서울 상공의 이상 항적을 포착했고 추가 검토를 거쳐 무인기 침범이라는 결론을 내렸고, 11시 27분께 직접 대응 작전을 개시한다고 합참에 보고하는 과정에서야 비로소 합참이 육군 1군단과 공군 8전투비행단 전력을 지휘해 무인기 대응 작전을 펼치고 있었음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의 ‘작전 지침’에는 북에서 온 미상 항적이 발견되면, 무인기 판정 전이라도 즉각적으로 상황을 전파하도록 돼 있다. 결국 합참 스스로가 ‘작전 지침 위배’라는 치명적 실수를 저지른 것이다.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은 현재 작전 상황 전반을 다시 들여다보고 재구성하면서 작전 중에 발생한 허점과 보완점을 파악하고 있다.

 

김 · 성 · 일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기자생각] 518, 그늘 속의 영웅들
1980년 5월, 광주에서는 수많은 민간인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민주주의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역사의 어두운 그림자 속에 남겨져 있다. 이들은 역사의 죄인일까.. 당시 광주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국가의 명령에 따라 행동했음은 물론이다. 그들에게 주어진 사명은 내란 진압이었으며, 이는 대한민국의 안정과 보호를 위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들의 선택은 단순히 '좋고 나쁨'의 문제가 아니라, 그 시대 상황 속에서 내릴 수밖에 없었던 어려운 결정이었음을 인정해야 한다. 어쨌던 그들은 역사의 한 장면 속에서 피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던 우리와 같은 국민들이었다. 역사의 재평가는 이러한 목소리를 포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민주주의의 발전과 국가 안보의 중요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은, 대한민국이 직면한 도전을 헤쳐 나가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대한민국은 지금도 여전히 북한의 지속적인 위협과 내부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의 안보를 지키기 위한 준비와 결단력은 한시도 미룰 수 없는 사명임에 틀림없다. 과거의 사건을 통해 얻은 교훈을 바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