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비속어 논란에 대해 “사실과 다른 보도로 동맹을 훼손하는 것은 국민을 위험에 빠뜨리는 일”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26일 용산 대통령실로 출근하며 기자들과 만나 '이번 순방 과정에서 행사장 나가면서 말씀하신 발언 논란이 됐는데 입장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논란이라기보다 이렇게 말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는 "전세계 초강대국 두세개 제외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온전하게 자국의 능력만으로 지킬 수 있는 국가는 없다"며 "그와 관련한 나머지 얘기들은 먼저 이 부분에 대한 진상이라든가 이런 것들이 더 확실하게 밝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한 윤 대통령은 "전 세계 두세 개 초강대국을 제외하고는 자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자국 능력만으로 온전히 지킬 국가는 없다. 동맹이 필수적"이라고도 강조했다.
앞서 윤 대통령이 지난 21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재정공약회의'를 마치고 회의장을 나가면서 박진 외교부 장관 등 참모들에게 언급한 비속어가 영상에 포착되며 논란이 일었다.
윤 대통령은 회의장을 떠나면서 "국회에서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OOO 쪽팔려서 어떡하나"라고 말하는 듯한 장면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애초 '바이든이 쪽팔려서 어떡하나'라는 발언으로 알려졌으나, 대통령실은 '바이든'이 아닌 '날리면'이라고 말한 것으로 미 의회가 아닌 우리 국회를 가리킨 언급이라고 밝혔다.
이에 여당은 지난 주말 사이 해당 발언을 최초 보도한 MBC를 "왜곡 보도를 했다"고 비판했다. 권성동 전 국민의힘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MBC는 대통령과 주변 참모와의 대화를 '(미국)국회에서', '바이든은 쪽팔려서'와 같은 자막을 달아 뉴스에 내보냈다"며 "MBC의 자막은 대통령의 발언을 지극히 악의적으로 왜곡시키기에 충분했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도 "당시 현장에 있던 참모들에게 파악한 결과 문제의 발언이 나올 상황이 아니었고, 대통령도 그렇게 말한 적이 없다고 한다"면서 "이 사안이 외부에 알려진 시간이나 경위에도 의혹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이 비속어 논란에 대해 "진상이 밝혀져야 한다"면서 '동맹 훼손', '국민 위험' 등의 표현을 사용한 것은 향후 이번 보도에 대해 강하게 대처할 뜻임을 시사했다.
차 · 일 · 혁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