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량세태(炎凉世態)의 잣대

- 권세 있으면 아첨, 몰락하면 냉대하는 세상 인심
- 마패(馬牌)와 유척(鍮尺) 들고 다닌 암행어사
- 공익(公益)의 자리가 사익(私益) 위한 디딤돌 돼서야...

 

기원전 221년 처음으로 대륙의 중원을 통일한 진시황(秦始皇)이 가장 먼저 한 일 중의 하나는 도량형(度量衡)의 통일(統一)이었다. 길이·질량·부피의 단위가 어디서 누가 하느냐에 따라 다르면 사회적으로 큰 혼란이 생긴다. 그래서 시황제는 정복지마다 달랐던 도량형이 언제 어디에서나 누구에게도 똑같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여겼으며, 그것이 영토를 합치는 것 이상으로 제국에 필요하다고 여겼던 것이다.

이렇듯 시황제는 도량형을 통일함으로써 산업과 문화, 더 나아가 국가 발전의 기틀을 닦았던 것이다.

 

 

우리나라도 1894년 갑오개혁 때에 새로이 도량형을 통일하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도량형이 제 마음대로라면 결국 힘이 있는 자의 이득으로 될 수밖에 없고, 그 손해는 백성의 몫으로 돌아가게 된다. 그래서 조선시대에도 암행어사들은 마패(馬牌) 이외에도 관리들이 도량형을 속이지는 않는지 알아보기 위해 유척(鍮尺)을 들고 다녔다.

 

저녁 퇴근 시간에 친구와 들른 주점의 삼겹살 1인분의 정량에 차이가 나면 짜증이 난다.

그런데 근간에 정치인을 비롯한 사회 지도층의 잣대를 보면서 염량세태를 느낀다. 척도가 엿장수 마음대로 때와 장소에 따라 또 사람에 따라 다른 듯하다. 일부 인사들은 특히 언행에 있어서 자신과 타인에게 들이대는 잣대를 달리할 뿐만 아니라, 이전과 지금의 잣대를 달리한다. 그러면서도 남의 잣대가 잘못되었고, 자신의 잣대는 늘 한 치의 틀림도 없다고 강변한다. 길가의 돌팔이 점쟁이도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 있다고는 않는데, 이들은 눈 한 번 깜박이지 않고서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 있다고 한다.

 

 

바른 인격을 갖지 못한 파렴치에 언행불일치의 잣대를 가진 자에게 공익(公益)의 공적(公的) 자리는 사익(私益)의 사적(私的) 자리를 위한 디딤돌로 쓰여 질 것이다. 우리 사회에 그러한 예는 지금까지 셀 수 없이 많이 있었으며, 이는 상식의 잣대로 재더라도 당연한 것이다.

그러니 사회 지도층이 되고자 하는 자에게는 "굽은 자로 줄을 그으면 굽은 줄이 그어지고, 곧은 자로 줄을 그으면 곧은 줄이 그어진다"는 잣대의 진리를 한 번이라도 마음에 새기게 했으면 한다.

이는 바르지 못한 마음에 바른 일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深 · 思 · 翁 (심사옹)  <객원 논설위원>

핫 뉴스 & 이슈

[기자생각] 518, 그늘 속의 영웅들
1980년 5월, 광주에서는 수많은 민간인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민주주의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역사의 어두운 그림자 속에 남겨져 있다. 이들은 역사의 죄인일까.. 당시 광주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국가의 명령에 따라 행동했음은 물론이다. 그들에게 주어진 사명은 내란 진압이었으며, 이는 대한민국의 안정과 보호를 위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들의 선택은 단순히 '좋고 나쁨'의 문제가 아니라, 그 시대 상황 속에서 내릴 수밖에 없었던 어려운 결정이었음을 인정해야 한다. 어쨌던 그들은 역사의 한 장면 속에서 피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던 우리와 같은 국민들이었다. 역사의 재평가는 이러한 목소리를 포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민주주의의 발전과 국가 안보의 중요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은, 대한민국이 직면한 도전을 헤쳐 나가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대한민국은 지금도 여전히 북한의 지속적인 위협과 내부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의 안보를 지키기 위한 준비와 결단력은 한시도 미룰 수 없는 사명임에 틀림없다. 과거의 사건을 통해 얻은 교훈을 바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