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이 핵탄두 제조에 필요한 고농축 우라늄(HEU) 제조시설을 공개한 가운데, 미국 백악관은 이와 관련하여 북한의 핵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강조했다.
존 커비 국가안보소통보좌관은 이 시설 공개가 미국의 전략적 대응을 강화하는 이유라고 언급하며, 한반도 및 주변 지역에 정보, 감시, 정찰 자산을 추가로 배치한 배경을 설명했다.
북한의 이번 공개는 국제사회에 대한 도발이자, 자국의 핵 능력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커비 보좌관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미국이 북한과 전제 조건 없이 대화할 용의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는 북한의 핵 야망을 억제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현재 한반도는 북한의 핵 능력 증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실질적인 억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같은 위기 국면에 대해 대북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현실적인 접근 방안을 제안했다.
먼저 한국자유회의 최이상 기획위원은 “한국과 미국은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통해 북한에 대한 압박을 강화해야 하며, 특히, 한국과 일본과의 군사적 협력 및 정보 공유를 통해 북한의 동향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피랍탈북인권연대 김진 실행위원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 조달을 차단하기 위한 경제 제재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하며, 제재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광범위한 지지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고 주장했다.
결론적으로, 북한의 HEU 제조시설 공개는 한반도의 안보 환경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지만, 미국과 국제사회가 공조하여 북한의 핵 야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기에, 말이 아닌 행동으로 단호한 의지를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김 · 도 · 윤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