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계속되는 오물 도발, 맞대응 조치 실행해야

- 대남 오물풍선 90여개 또 살포. 서울 일원 경보
- 정부 차원의 경고 무시, 맞대응 불가피한 국면


 

북한의 지속적인 대남 오물 풍선 도발에 대한 정부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오물 도발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1일 저녁 북한은 대남 오물 풍선을 남쪽으로 보내며 긴장을 고조시켰다. 이 같은 행위는 지난달 실패한 군사정찰위성 발사 이후 지속되고 있는 복합적 도발의 일환임을 보여준다.

 

합동참모본부는 1일, 북한이 오후 8시경부터 대남 오물 풍선을 날리기 시작했으며, 이 풍선들은 약 45분 후에 군사분계선을 넘어 남쪽으로 이동했다고 밝혔다. 이날 밤 11시까지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총 90여 개의 오물 풍선이 식별되어 조치중에 있다.

 

군은 이 풍선들이 위험 물질을 담고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나, 격추보다는 낙하 후 안전하게 수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주민들의 안전을 위한 것으로, 합참은 주민들에게 풍선 적재물의 낙하에 주의를 기울이고, 발견 시 접촉을 피하고 군부대나 경찰에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북한의 오물풍선 도발은 지난달 28일부터 29일까지는 260여 개의 오물 풍선이 우리 군에 의해 포착되었다. 또한, 북한은 서해 북방한계선 일대에서 남쪽을 향한 위성항법장치(GPS) 전파 교란 공격과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발사 등의 무력 시위를 감행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최근 북한 도발 관련 정부 입장'을 통해 북한의 도발에 유감을 표하며, 북한이 이러한 행위를 멈추지 않는다면 북한이 감내하기 힘든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도발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맞대응의 조치는 불가피하다는 여론이 고조되고 있다.

 

만약 정부적 차원의 대응이 이루어진다면 민간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북전단의 효과와는 비교도 안될 엄청난 파장이 북한당국에게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김 · 성 · 일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자유대한포럼 참관기] 다시보는 김대중 100년... 망명자의 분노와 회한
올해가 김대중 전 대통령이 태어난지 100년이 된다고 한다. 그가 이 땅에 온 것이 한세기가 되었다는 것을 그로 인해 미국으로 망명한 김기삼 변호사를 통해 처음 들었다. 21일 오후 광화문 조선일보사 맞은편 TV조선 강의장에는 무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많은 시민들이 하나 둘 자리를 잡고 있었다. 강연장 화면에는 낯익은 얼굴이 시험테스트를 위해 열심히 무언가 조율중이었다. 자유대한연대, 한국자유회의, 트루스포럼 등 3개 단체가 21번째 이어온 ‘자유대한포럼’을 준비하고 있는 현장 분위기였다. 오랜만에 열리는 온라인(Zoom) 세미나여서 그런지 이것저것 신경쓸 일들이 많아 보였다. 화면에 비친 김기삼 변호사는 예전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듯 보였다. 외국에서의 망명 생활이라는 것이 쉽지만은 않을 터인데, 그래도 굿굿한 모습을 보니 한시름이 놓이기도 했다. 그리 넓지 않은 강연장은 어느새 많은 시민들로 꽉 채워졌고, 다소 어색해 보였지만 차분한 목소리로 강의는 시작되었다. 강의 제목은 “미국의 대선 풍향과 다시 돌아보는 김대중 100년”이다. 미국의 시간으로는 새벽 시간, 한참 잠자리에 있어야 할 시간대에 김 변호사는 화면에 띄운 자료들을 토대로 찬찬히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