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화학무기 사용, 전쟁범죄로 단죄해야

- 우크라이나 전선의 새로운 위기, 국제사회의 강경 대응 주목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격을 강화하는 가운데, 클로로피크린과 같은 화학무기 사용이 전선에서 사용해 국제적인 비난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화학무기의 사용은 우크라이나군을 극심한 고통에 빠뜨리며, 결국 전선에서의 퇴각까지 야기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동부 전선에서의 화학무기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지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 항공기를 통한 활공폭탄 투하와 드론을 이용한 가스 살포는 러시아군의 진격을 돕는 주요 전략 중 하나가 되었다.

 

클로로피크린에 노출될 경우, 피부 화상과 눈물, 호흡 곤란 등의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며, 가스는 공기보다 무거워 참호 구석구석까지 퍼진다. 우크라이나 병력은 이로 인해 고통 속에서 참호를 벗어나야 하며, 이는 무기력한 상태에서 러시아 보병의 공격을 맞이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우크라이나 육군의 드미트로 세르히옌코는 러시아군의 독성 화학물질 사용을 "일상의 현실"로 표현하며, 이는 우크라이나군에게 상당한 위협이 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미국 정부는 이러한 화학무기 사용이 러시아군의 공식 전술이 되었다고 진단하며,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클로로피크린은 1차 세계대전 당시 사용된 바 있는 화학물질로, 현재는 살충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화학물질의 전쟁 사용은 화학무기금지조약(CWC)에 의해 금지되어 있다.

 

러시아 또한 이 조약의 당사국으로 미국 국무부는 러시아의 이러한 행위를 조약 위반으로 강력히 비판하고, 관련한 제재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국제적으로 금지된 화학무기의 사용은 전쟁의 양상을 더욱 참혹하게 만들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전선에서의 인도적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러시아의 전쟁범죄에 해당하는 반인도적 행위에 국제사회의 즉각적인 대응과 함께, 우크라이나 국민들의 안전과 평화를 위한 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할 시점이다.

 

안 · 희 · 숙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오물퐁선에 드러난 북한주민의 생활난
통일부는 최근 북한이 남한으로 살포한 오물풍선에서 기생충이 다수 검출되었다고 밝혔다. 24일 통일부는 대남 오물풍선 70여 개를 수거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며, 오물 내 토양에서 회충, 편충, 분선충 등 다양한 기생충이 발견되었다고 전했다. 이러한 기생충은 주로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일부는 "오물에 포함된 토양에서 사람 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이는 인분에서 유래한 것임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오물에 포함된 토양의 양이 소량이고 군에서 수거 및 관리했기 때문에 토지 오염이나 감염병 위험은 없다고 덧붙였다. 또한 오물풍선에서는 과거 국내 업체가 북한에 지원한 넥타이와 청재킷 등의 의류 조각도 발견되었다. 해당 의류는 가위나 칼로 잘린 것으로 보이며, 이는 북한이 대북 전단 문제에 대한 반감을 표현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통일부는 "북한이 대북 전단 문제에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하며, 과거 지원 물품을 훼손해 살포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는 북한 주민들의 열악한 생활 실태를 은폐하려는 시도로도 해석된다. 오물풍선에 포함된 쓰레기 중에는 특정 상품 정보를 제거한 페트병, 폐종이, 비닐 등이 있었으며, 이는 북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