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화학무기 사용, 전쟁범죄로 단죄해야

- 우크라이나 전선의 새로운 위기, 국제사회의 강경 대응 주목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격을 강화하는 가운데, 클로로피크린과 같은 화학무기 사용이 전선에서 사용해 국제적인 비난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화학무기의 사용은 우크라이나군을 극심한 고통에 빠뜨리며, 결국 전선에서의 퇴각까지 야기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동부 전선에서의 화학무기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지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 항공기를 통한 활공폭탄 투하와 드론을 이용한 가스 살포는 러시아군의 진격을 돕는 주요 전략 중 하나가 되었다.

 

클로로피크린에 노출될 경우, 피부 화상과 눈물, 호흡 곤란 등의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며, 가스는 공기보다 무거워 참호 구석구석까지 퍼진다. 우크라이나 병력은 이로 인해 고통 속에서 참호를 벗어나야 하며, 이는 무기력한 상태에서 러시아 보병의 공격을 맞이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우크라이나 육군의 드미트로 세르히옌코는 러시아군의 독성 화학물질 사용을 "일상의 현실"로 표현하며, 이는 우크라이나군에게 상당한 위협이 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미국 정부는 이러한 화학무기 사용이 러시아군의 공식 전술이 되었다고 진단하며,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클로로피크린은 1차 세계대전 당시 사용된 바 있는 화학물질로, 현재는 살충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화학물질의 전쟁 사용은 화학무기금지조약(CWC)에 의해 금지되어 있다.

 

러시아 또한 이 조약의 당사국으로 미국 국무부는 러시아의 이러한 행위를 조약 위반으로 강력히 비판하고, 관련한 제재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국제적으로 금지된 화학무기의 사용은 전쟁의 양상을 더욱 참혹하게 만들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전선에서의 인도적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러시아의 전쟁범죄에 해당하는 반인도적 행위에 국제사회의 즉각적인 대응과 함께, 우크라이나 국민들의 안전과 평화를 위한 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할 시점이다.

 

안 · 희 · 숙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양아치 짓이 얼마나 지나쳤으면.. "XX 잡놈 때문"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이화영씨가 쌍방울로부터 법인카드와 법인차량 등을 제공받은 혐의로 1심에서 징역 9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이화영씨의 혐의는 뇌물 수수와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쌍방울로부터 여러 대의 법인차량을 제공받아 사용한 것이 주된 내용이다. 이화영씨 측은 줄곧 법인카드를 사용한 적 없으며, 차량도 잠시 빌려 사용한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1심 재판부는 쌍방울이 이화영씨에게 총 3대의 법인차량을 번갈아가며 제공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쌍방울 부회장이던 방용철씨는 2020년 3월 술자리에서 이화영씨가 "쌍방울에 차 있으면 한 대만 줘봐라"라고 요청했다고 진술했다. 이에 방씨는 오래된 렉서스 차량을 제공했으나, 한 달 뒤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이유로 카니발 차량으로 교체해주었다고 밝혔다. 이후 이화영씨의 요청에 따라 더 나은 상태의 신형 카니발로 다시 교체해주었다는 증언도 나왔다. 김성태 전 쌍방울 회장도 이화영씨에게 법인차량이 제공된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증언했다. 그는 차량 교체 보고를 받을 때마다 "교체해줘라"라고 지시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쌍방울의 또 다른 부회장 A씨는 법정에서 방용철씨로부터 차량을 반납하라는 지시를 받고 오래된 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