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의 분석은 틀렸다.

- 중국의 힘이 아닌 자유민주체제의 가치 문제
- 자유민주 체제에 빨대 꽂아 부패한 시진핑과 푸틴

 

한‧미‧일 공동 군사훈련과 기술 협력에 관한 3국 정상회담의 합의는, 중국의 커지는 힘이 배경이 되고 있다고 미 CNN이 분석 보도했다.

 

이같은 보도의 배경에는, 그동안 미국 민주당과 CNN 방송사가 일찍부터 중국이 미래 미국의 파트너이냐 경쟁관계이냐를 두고 공화당과의 심각한 내전(?)이 진행될 때, 전략적 파트너라고 주장하는 민주당의 입장에 줄섰던 이력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결국 그 내전의 결과는, 미국 정치권과 언론, 시민사회 전체가 잘못된 방향으로 질주하고 있는 중국에 대해 회초리를 들어야 한다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그럼에도 이번 캠프 데이비드에서 개최된 한‧미‧일 삼각정상회담을 두고, 중국의 커지는 힘이 무서워 어쩔 수 없이 힘을 합치는 것인 양 잘못된 분석을 내놓고 있다.

 

지금 한반도를 중심으로 격변하고 있는 안보정세와, 이에 대응하는 3국 정상들의 결의는 다름 아닌 다음과 같은 이유가 핵심적 요인으로, 이는 어제와 오늘이 다를 것임을 명백히 하는 근거라고 할 것이다.

 

우선, 첫째는, 중국이 자유민주주의 세계질서에 기대어 성장해온 힘을, 보답은커녕 인류를 잘못된 방향으로 끌고 가려는 부패와 배신의 결과이고,

둘째는, 한국 종북‧종중 정권의 탄생과 그들이 대한민국의 가치를 잊고 자유민주주의에 기초한 기적의 역사를 지우려 했던 파행의 결과이며,

셋째는, 그래도 늦은 감은 있지만 자유민주체제의 끝자락을 붙잡고 천신만고 끝에 ‘다시 대한민국’을 외치는 윤석열 정부의 확고한 자유의지의 결과이다.

 

자기 스스로 차근차근 키워왔던 힘의 성장도 아닌, 오로지 자유민주 세계체제에 빨대 꽂아 비대해진 주제파악도 못하고, 이제 다른 집까지 넘보고 심지어 차지하려고까지 하려는 아주 못된 공산전체주의 잔당들의 잘못된 방향에, 자유민주주의의 깃발을 올곧게 세운 3국 정상들에게 머리 숙여 경의를 표하는 바이다.

 

- S · M -

핫 뉴스 & 이슈

기고만장 이재명, 약일까.. 독일까..
헌정사상 최초로 야당 대표의 체포동의안 가결에 이어, 구속영장 실질심사에서 최종 기각이 결정됐다. 증거인멸의 우려가 구속할 만큼 상당하다고 볼 수 없다는 취지였다. 소위 ‘개딸들’을 비롯한 지지자들은 환호했고, 이재명 대표는 구치소를 나와 성명을 발표한 뒤 녹색병원으로 돌아갔다. 재판정에 들어갈 때 침묵하던 모습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였다. 이 대표의 구송영장 기각이 정치적 시각에 있어 약일지 독일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들이 대세다. 친명, 비명 내지 반명으로 사분오열된 당 내부의 어수선한 분위기를 차치하더라도, 일반상식에 입각해서 대다수 국민들이 이를 어떻게 볼지가 관건이다. 세기의 재판을 두고 고심했던 재판부는 “위증 교사 및 백현동 개발 사업의 경우 현재까지 확보된 인적·물적 자료에 비춰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했다. 대북 송금 혐의의 경우 “피의자의 주변 인물에 의한 부적절한 개입을 의심할 만한 정황들이 있기는 하다”면서도 이 대표가 직접적으로 개입하였다고 단정할 만한 자료는 부족한 점 등을 들어 “증거인멸의 염려가 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했다. 당초 검찰은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쌍방울 불법 대북 송금’ ‘백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