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ㆍ중 교류 틈타 핵물질 피폭 농수산물 유통 우려

- 더 커진 ‘유엔 제재 구멍’…단둥서 北무역상 목격
- 中 단둥 “북한산 수산물 한국에 납품”
- 평북 금창리, 함북 풍계리 핵물질 오염 심각

 

코로나19로 2020년 초 이후 멈췄던 북·중 간 경제 교류가 조금씩 재개되면서 북한산 수산물이 중국 단둥시에서 가공해 한국으로 수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1월 코로나19로 국제 보건 비상사태 선언 이후 4년째를 맞으면서 서서히 코로나19가 종식되면서 가장 먼저 중국으로 흘러드는 것은 북한산 수산물이다.

 

북·중 최대 교역 거점인 랴오닝성 단둥시의 둥강(東港·현급 시)에는 약 40곳의 수산물 가공공장 중 5~6곳이 북한산 수산물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데, 이들 공장은 북한 인근 바다에서 잡은 수산물을 가공해서 한국과 미국 등으로 수출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중 서해의 평북 금창리 일대와 동해 일대인 함북 풍계리는 핵무기 관련 제조, 실험 등으로 소위 ‘귀신병’이 돌고 있다는 설도 파다한 위험지역이다.

 

또한 2017년 UN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 2371호를 통해 북한의 수산물 수출은 전면 금지되어, 당시 북한의 5대 수출품으로 주요 외화수입원이던 수산물의 수출이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코로나19로 인해 중국 해관(세관)의 공식 통계에서도 북한산 수산물 수입이 ‘0‘으로 표시되었었다.

 

그러나 작년 하반기부터 북한 해역에서 잡은 수산물을 중국 배가 해상에서 넘겨 받아 ‘중국산’으로 유통하는 경우가 크게 늘어, 다시 북한의 주요 외화벌이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 측의 긴급 요청으로 지난해 9월부터 단둥~신의주 기차 운행이 재개되고, 북·중 고위급의 회담 후부터 중국의 식량 등 ‘7가지 품목’이 북으로 공수되면서 단둥의 대형 도매시장에서는 북한 무역상들이 적잖이 목격됐다.

 

 

그동안 중국과 교역이 대부분 끊겨 북한의 식량난과 경제 악화는 매우 심각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향후 북ㆍ중간의 육로·철로 교역까지 정상화되며 국경이 전면 개방되면 대북 제재 구멍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에 더해 핵실험과 관련하여, 방사능 피폭위험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북한 풍계리 일대에서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에 대한 방사능 노출 전수조사가 5월에 실시될 예정이어서, 자칫 핵물질에 오염된 북한산 농수산물이 북중 교역을 틈타 국내에 유통될시 대북제제 무력화를 넘어 국민안전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김 · 성 · 일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기자생각] 518, 그늘 속의 영웅들
1980년 5월, 광주에서는 수많은 민간인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민주주의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역사의 어두운 그림자 속에 남겨져 있다. 이들은 역사의 죄인일까.. 당시 광주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국가의 명령에 따라 행동했음은 물론이다. 그들에게 주어진 사명은 내란 진압이었으며, 이는 대한민국의 안정과 보호를 위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들의 선택은 단순히 '좋고 나쁨'의 문제가 아니라, 그 시대 상황 속에서 내릴 수밖에 없었던 어려운 결정이었음을 인정해야 한다. 어쨌던 그들은 역사의 한 장면 속에서 피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던 우리와 같은 국민들이었다. 역사의 재평가는 이러한 목소리를 포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민주주의의 발전과 국가 안보의 중요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은, 대한민국이 직면한 도전을 헤쳐 나가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대한민국은 지금도 여전히 북한의 지속적인 위협과 내부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의 안보를 지키기 위한 준비와 결단력은 한시도 미룰 수 없는 사명임에 틀림없다. 과거의 사건을 통해 얻은 교훈을 바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