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새밑,새해에 "초대형방사포 발사"

- ‘초대형방사포’ 검수 사격 주장
- 1발, 어제 3발 발사

 

북한은 2022년 마지막 날과 새해 첫날에 각각 초대형방사포 3발과 1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군수경제 총괄기관인 제2경제위원회는 지난해 12월 31일 오전 당 중앙에 증정하는 초대형방사포의 성능검열을 위한 검수사격을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일 보도했다.

 

통신은 "2023년 1월 1일 새벽 조선인민군 서부지구의 어느 한 장거리포병구분대에서는 인도된 초대형방사포로 1발의 방사포탄을 조선 동해를 향해 사격하였다"고 덧붙였다.

 

북한이 포병부대에 초대형 방사포를 '인도'했다고 밝혀 실전배치에 돌입한 것으로 보인다.

 

합동참모본부(합참)는 1일 “북한이 오전 2시50분께 평양 용성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단거리탄도미사일 1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이 미사일의 세부 제원은 한·미 정보당국이 분석 중이다.

 

북한 방사포는 우리의 다연장로켓발사시스템(MLRS·Multiple Launch Rocket System)이)라고 부르는 무기다.

북한 초대형방사포는 외형과 발사 궤적, 제원 등을 미뤄 탄도미사일에 가깝고, 북한이 이를 쏘면 국내외 전문가들은 “비행 특성상 방사포에 가깝다”와 “미사일로 봐야 한다”는 엇갈린 의견을 내놓고 있다.

 

원래 미사일은 스스로 표적을 찾아가는 유도기능이 있는 무기(유도탄)이고, 방사포는 표적 유도 기능이 없어 발사 전에 목표를 정확하게 조준해야 했다. 최근 북한 방사포 기술이 발달해 예전에 불가능했던 유도 기능이 가능해져 미사일과 경계가 점점 희미해지고 있다.

 

김 · 성 · 일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기자생각] 518, 그늘 속의 영웅들
1980년 5월, 광주에서는 수많은 민간인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민주주의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역사의 어두운 그림자 속에 남겨져 있다. 이들은 역사의 죄인일까.. 당시 광주에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군인들은 국가의 명령에 따라 행동했음은 물론이다. 그들에게 주어진 사명은 내란 진압이었으며, 이는 대한민국의 안정과 보호를 위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들의 선택은 단순히 '좋고 나쁨'의 문제가 아니라, 그 시대 상황 속에서 내릴 수밖에 없었던 어려운 결정이었음을 인정해야 한다. 어쨌던 그들은 역사의 한 장면 속에서 피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던 우리와 같은 국민들이었다. 역사의 재평가는 이러한 목소리를 포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민주주의의 발전과 국가 안보의 중요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은, 대한민국이 직면한 도전을 헤쳐 나가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대한민국은 지금도 여전히 북한의 지속적인 위협과 내부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의 안보를 지키기 위한 준비와 결단력은 한시도 미룰 수 없는 사명임에 틀림없다. 과거의 사건을 통해 얻은 교훈을 바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