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김여정 ‘막말’ 담화 “도적이 매를 드는 식” 개탄

 

통일부가 24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막말 담화’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

 

앞서 김 부부장은 이날 한국과 미국의 대북독자제재 추진에 반발하면서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거친 언행을 쏟았다.

 

이에 대해 통일부 이날 입장문을 내놓고 "오늘 김여정 부부장이 우리 국가 원수에 대해 저급한 막말로 비난하고 초보적인 예의도 갖추지 못한 것에 대해 매우 개탄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이어 "현 한반도의 긴장 국면은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도발 등으로 초래됐음에도 도적이 매를 드는 식으로 우리에게 책임을 전가하려는 태도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국민에 대해 반정부 투쟁을 선동하고 체제를 흔들어보려는 불순한 기도를 강력 규탄하며 이러한 시도에 우리 국민은 누구도 동조하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북한 당국에 대한 인식만 더욱 나빠질 것이라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홍식 국방부 부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담화에 대한 질문에 “국방부 차원에서의 별도 말씀드릴 내용은 없다”면서도 다만 “김여정의 막말 담화 내용에 대해 과연 동의할 사람이 얼마나 되겠느냐, 아무도 없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 부부장은 이날 한국과 미국의 대북 독자제재 추진에 반발하면서 낸 담화에서 “남조선 외교부 것들이 우리의 자위권 행사를 ‘도발’이라는 표현으로 걸고 들며 그것이 지속되고 있는 것만큼 추가적인 독자 제재 조치도 검토하고 있다는 나발을 불어댔다”고 비난했다.

 

이어 그는 "(남한) 국민들은 윤석열 저 천치바보들이 들어앉아 자꾸만 위태로운 상황을 만들어가는 '정권'을 왜 그대로 보고만 있는지 모를 일이다"라고 막말 비난했다. 또한 “윤석열의 담대한 구상이라는 것은 검푸른 대양을 말려 뽕밭을 만들어보겠다는 것만큼이나 실현과 동떨어진 어리석음의 극치”라고 폄훼했다.

 

일각에서는 우리 정부의 성명이나 담화 발표 등 강도 높은 형식의 대응 가능성도 거론됐으나 실제로는 통일부 '입장'이라는 상대적으로 절제된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는 김 부부장의 막말 담화 내용에 선동될 필요가 없고, 남남갈등 조장 의도에 휘말릴 필요가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김 · 성 · 일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북, '9·19합의 파기' 책임 전가... 대남 협박 강화
북한은 3일 한국의 9·19 군사합의 일부 조항 효력 정지로 한반도 정세가 극도로 악화했다면서 대한민국의 적대 행위는 '완전소멸'로 이어질 것이라고 위협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 보도에 따르면 군사논평원은 "지난 5년간 유지되어오던 군사분계선 완충지대는 완전히 소멸되고 예측할 수 없는 전쟁 발발의 극단한 정세가 팽배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올해 들어 10월까지 한국이 전방지역에서 수천회 확성기 방송 도발과 군함·정찰기의 영해·영공 침입을 감행했다면서 "적들이 북남군사분야합의를 난폭하게 위반한 사실들을 입증할 수 있는 각종 증거물들이 충분하다"고 강변했다. 또한, 전날 한국의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언급, "우리의 위성발사가 북남군사분야합의서에 대한 '위반'으로 된다면 (중략) 이미 정해진 11월 30일에서 12월 2일로 미루면서도 미국상전에게 기대여 끝끝내 실행한 군사정찰위성발사는 어떠한가"라며 "그 어떤 철면피한도 이를 '합의준수'라고 우겨댈 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통신에 따르면, 군사합의 효력 정지가 한국군이 직접 대북전단을 살포하는 등 대북심리전을 본격 강행하기 위해서라며 "적들이 시도하는 우리측 지역에 대한 무인기투입과 삐라살포는 전쟁도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