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바이든, 퇴임한 文을 왜 만나려는가

- 文측의 간청인가, 김정은의 요청인가?
- 지속적인 북의 도발에 분명한 메시지 있어야
- 야만(野蠻) 편인 문측에게 얻을 것은 전혀 없어

 

정권교체기에 연이은 해괴망칙한 일이 文의 퇴임 후에도 계속될까 걱정이다.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새정부 출범과 함께 곧바로 한-미정상회담을 위해 방한하는 것은 그동안 작동 중지 내지 파괴된 한-미 자유동맹의 회복과 한-미-일 삼각동맹의 복원 차원에서 너무나 잘 된 일이다.

 

반면에, 어떤 연유인지는 모르겠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정상회담 일정 중에 퇴임한 文측과 만날 예정이라는 일부 언론보도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 공식적인 입장들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 원하는 쪽의 바램일 수 있겠지만, 그동안 각종 기만적인 정치쇼에 질리도록 이골이 난 한국민들로서는 모처럼 차려지는 잔치상에 코 빠뜨리는 일이 생기지나 않을지 걱정되는 것이 사실이다.

 

도대체 어떤 이유로 바이든 대통령이 퇴임한 문을 만날 수 있다는 언론플레이를 하는 것일까? 예측컨데 몇가지의 예를 상정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 첫번째는 탁현민류의 쇼를 위해 희박한 가능성의 끝자락이라도 잡고픈 간청일지도 모르겠다. 여전히 40%(?)에 달한다는 고공 인기의 퇴임자가 막후에서 잊혀지지 않는 존재감으로 남겠다는 굳은 의지에서 자존심을 구겨가면서까지 막후 공작(?)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게 아니라면 또 하나의 가정으로, 북한 김정은의 요청으로 대리 회담을 하려는 의도인지도 모를 일이다.

당장 바이든과의 미-북 정상회담이나 미-북협상 테이블이 마련되기는 쉽지 않은 여건에서, 이왕지사 한-미정상회담 국면에 상왕으로서의 존재감도 보이고, 남측의 무시할 수 없는 지지세력들과 지속적인 ‘생명공동체’로서의 면모를 과시하려는 수작일 수도 있겠다.

아무튼 이 모든 가정이라 할지라도 지극히 비정상적인 일인 것만은 확실해 보인다.

 

현재 대한민국의 정치상황은 비정상의 연속이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검수완박’을 밀어부쳤다. 개인용 방탄복으로 조롱받는 보궐선거에 여당후보였던 대통령 선거 낙선자가 출마한다. 정부 구성을 조직폭력배들의 영역 나눠 먹기식으로 뒷거래하려는 작태가 버젓이 횡행하는 범죄소굴이 되어버렸다.

 

 

더 이상 퇴임한 정권, 그것도 한-미동맹과 북한 비핵화에 찬물을 끼얹고 방해만 일삼았던 세력들에게 또다시 정치쇼를 하게끔 용인하는 것은 아시아의 자유평화와 동북아 안정에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 한-미 당국의 사려 깊은 판단이 요구된다.

 

대륙의 공산야만(共産野蠻)과 해양의 자유문명(自由文明)이 다시 격돌하고 있는 작금의 한반도... 미국 대통령의 행보가 어떠해야 한다는 것은 자명하다.

역사는 늘 자유의 편이었다.

 

<논설위원실>

핫 뉴스 & 이슈

기고만장 이재명, 약일까.. 독일까..
헌정사상 최초로 야당 대표의 체포동의안 가결에 이어, 구속영장 실질심사에서 최종 기각이 결정됐다. 증거인멸의 우려가 구속할 만큼 상당하다고 볼 수 없다는 취지였다. 소위 ‘개딸들’을 비롯한 지지자들은 환호했고, 이재명 대표는 구치소를 나와 성명을 발표한 뒤 녹색병원으로 돌아갔다. 재판정에 들어갈 때 침묵하던 모습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였다. 이 대표의 구송영장 기각이 정치적 시각에 있어 약일지 독일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들이 대세다. 친명, 비명 내지 반명으로 사분오열된 당 내부의 어수선한 분위기를 차치하더라도, 일반상식에 입각해서 대다수 국민들이 이를 어떻게 볼지가 관건이다. 세기의 재판을 두고 고심했던 재판부는 “위증 교사 및 백현동 개발 사업의 경우 현재까지 확보된 인적·물적 자료에 비춰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했다. 대북 송금 혐의의 경우 “피의자의 주변 인물에 의한 부적절한 개입을 의심할 만한 정황들이 있기는 하다”면서도 이 대표가 직접적으로 개입하였다고 단정할 만한 자료는 부족한 점 등을 들어 “증거인멸의 염려가 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했다. 당초 검찰은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쌍방울 불법 대북 송금’ ‘백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