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간보기’ 전략, 오물 풍선 잠정 중단 발표

- 3,500여개 오물 풍선 남쪽으로 살포 주장

 

북한이 남쪽으로의 오물 풍선 살포를 잠정 중단하겠다고 김강일 국방성 부상 명의로 2일자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했다.

 

이와 동시에 한국이 다시 북한으로 전단을 보내온다면 살포를 재개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러한 발표는 이번 오물 풍선 살포로 소기의 성과를 낸 것으로 판단한 조치로 보이지만, 양측 간의 긴장은 여전히 끝나지 않은 상황이다.

 

김강일 북한 국방성 부상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오물 풍선 살포는 한국에 대한 "철저한 대응조치"라며, 이를 통해 한국 측에 충분한 경고를 전달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만약 한국에서 다시 반공화국 삐라 살포를 재개한다면, 이전보다 더 많은 양의 휴지와 오물을 집중적으로 살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 5월 28일부터 6월 2일까지 북한은 총 15톤의 휴지쓰레기를 3,500여 개의 기구에 담아 남쪽 국경 부근과 수도권 지역에 살포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합동참모본부는 2일 오후 1시까지 서울·경기·충청·경북 등의 지역에서 720여 개의 오물 풍선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대북 전문가들은 북한의 이번 잠정 중단 선언이 북한 특유의 ‘간보기’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북한이 설정한 조건에 따라 언제든지 상황이 다시 재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자유대한연대 이강호 공동대표는 "오물 풍선으로 차량이 파손되는 등 민간인의 피해에 대해 북한의 야만적 행동은 응당 댓가를 치뤄야 할 것"이라며, "일반 삐라와 달리 오물 풍선이 고압선 등에 떨어져 정전 내지 화재, KTX 운행 중단 등을 유발할 수도 있었기에 테러 공격에 준하는 대응책으로 응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 또한 북한의 이번 조치에 대응해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등의 대응 방안을 단계적으로 수위를 조절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김 · 성 · 일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푸틴의 도박과 북러 동맹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이 서명한 '포괄적인 전략적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북러 조약)은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안정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 조약은 사실상 1961년 북한과 소련 간 체결된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에 관한 조약'의 자동군사개입 조항을 부활시키며, 한반도 유사시 러시아의 군사 개입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 푸틴은 과거 자유민주세계와의 교류와 협력을 통해 러시아의 정치경제를 발전시켰다. 하지만 이번 북러 조약은 푸틴의 이러한 행보에 역행하는 결과로, 러시아를 다시 전체주의 세력과 손잡게 만들었다. 이는 자유민주주의 세계에 대한 푸틴의 배신이며, 국제사회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 북러 조약 제4조는 "쌍방중 어느 일방이 개별적인 국가 또는 여러 국가들로부터 무력침공을 받아 전쟁상태에 처하게 되는 경우 타방은 유엔헌장 제51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러시아 연방의 법에 준하여 지체 없이 자기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수단으로 군사적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동맹을 강화하고, 한반도 유사시 군사적 개입을 통해 북한을 지원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한반도의 자유통일을 염원하는 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