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회(懺悔)와 개과(改過)

- 창해(滄海)에서 일속(一粟)을 찾는 것보다 어려운 세상
- 잘못을 알았다면 스스로 참회하고 고치려고 노력해야

 

요즘 우리 사회에서 그 나름대로 성공한 사람이라고 일컬어지는 많은 이들에게서 진정한 참회와 개과를 찾아보기가 어렵다. 일부 정치인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기보다 환심의 교묘한 언사(言辭)와, 아첨의 안색을 하는 교언영색(巧言令色)으로 많은 사람으로부터의 일순모면(一瞬謀免)을 바란다.

 

일부의 정부 고위 공직자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기보다 은폐하고, 시간과 함께 많은 사람으로부터의 기억상실을 기대한다. 기업의 소위 오너라는 일부의 대주주는, 사적인 탐욕추구에 주주 가치를 훼손하고도 그에 따른 손해에 대해 전혀 책임지지 않으면서도 많은 사람으로부터의 지위보전을 간구한다.

 

언제부터인지 이와 같이 우리 사회의 좀 잘난 사람에게서 참회와 개과를 찾기란 창해(滄海)에서 일속(一粟)을 찾는 것보다 어려운 일이 되었다.

 

불교에서는 천수경의 참회게(懺悔偈)에 “예전부터 내가 지었던 모든 악업은, 모두가 탐내고 화내고 어리석음에서 비롯되었는데, 몸과 입과 뜻을 따라 생겨난 것이므로, 나 이제 그 모든 죄업을 참회하옵니다.”라고 하면서 참회를 하고 개과를 다짐하고 있다.

 

 

천주교에서는 범한 죄를 기억하고, 고백하고, 뉘우치고, 죄가 사해지기를 원하고, 다시 죄를 범하지 않을 것을 서약하면서 고해성사(告解聖事)를 한다. 또 미사 전례 중에 “생각과 말과 행위로 죄를 많이 지었으며... ”라고 하며, 가슴을 치며 “제 탓이요”라고 하며 고백 기도의 참회를 하고 개과를 다짐한다. 모든 종교에서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불교와 천주교에서는 참회 자체가 수행의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면서 스스로의 개과에 큰 도움을 준다.

 

그런데, 나름대로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이라고 하는 많은 이들에게서도 참회와 개과는 좀처럼 찾기 어렵다. 이들의 거의 모두는 겸손하게 남을 배려하는 마음이 없으며, 더 나아가 하늘이 자신에게 부여한 책임마저 잊고 방종(放縱)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사람들에게는 참회와 개과를 기대하고 용서의 관용을 베풀지 않는 것이 나을 수 있다.

 

우이독경(牛耳讀經)이 될 수 있고 또 다시 마찬가지의 잘못을 저질러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마을을 가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는 더 큰 화를 키우는 것과 마찬가지의 것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간은 모두 잘못을 저지를 수밖에 없는 운명을 타고 나서, 신과는 달리 누구나 잘못을 저지른다. 그런 연유로 자신도 언제 저지를지 모르는 잘못이기에, 남의 잘못에 대해 인간적으로 공감을 하고 또 암묵적으로 동의를 한다.

 

공자(孔子)는 잘못을 탓하기보다 단지 잘못을 알고 뉘우치는 참회를 하고 고치려고 하는 개과를 하도록 타일렀다. 공자가 제자 안연을 높이 산 것도 마찬가지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는 “불이과(不二過)” 때문이었다. 이는 잘못을 저지르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잘못을 알았다면 그것을 스스로 참회하고 고치려고 하는 개과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잠시 악마에게 영혼을 팔아버려, 천부의 재능에도 불구하고 악업만을 쌓은 사람에게도 참회하고 개과하려는 마음을 가지면 신은 용서를 베푼다. 그러므로 병가지상사(兵家之常事)라는 말이 있듯이, 우리는 어느 누구라도 참회하고 개과하려는 마음을 가지고 있으면 한 번의 잘못에 대해 용서의 관용을 베풀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만 자신도 언제 저지를지 모르는 잘못에 대해 참회하고 개과하려는 마음을 가지고 남으로부터 용서의 관용을 바랄 수 있다.

 

물론 “참회하고 개과하는 것보다 잘못을 저지르지 않으려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채 · 시 · 형 (蔡時衡)  <자유기고자>  

 

              ※ 초청시론의 내용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편집실 -

핫 뉴스 & 이슈

중앙선관위의 존재 이유를 묻는다
현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가 직면한 논란은 단순히 한 기관의 문제로 볼 수 없다. 이는 한국 사회 전체에 대한 신뢰와 자유민주주의 토대를 파괴하는 사건으로, 그의 부정적 파급 효과는 말로 할 수 없게 매우 크다. 선거라는 절차는 민주주의의 가장 기본적이며 핵심적인 요소임에도, 이를 관리하는 기관에서 비리와 부정이 발생했다는 것은 국민이 민주주의 시스템에 대해 가지고 있는 믿음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민주주의 자체의 건전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선관위는 그 권한이 아무리 막강하다 할지라도, 그 권한의 근간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선거는 민주주의의 꽃이며, 그 과정과 결과에 대한 투명성과 공정성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최근 벌어진 일련의 사건들은 이러한 원칙에 심각한 의문과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첫째, 자녀 채용 비리 문제는 단순한 인사 문제를 넘어서, 공정성과 정의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이다. 선관위 내부에서 이러한 비리가 발생했다면, 그들이 관리하는 선거 과정 전반에서 공정함을 기대할 수 없다. 이는 심각한 신뢰의 문제로,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철저한 조사와 책임 규명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둘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