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4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거행된 제8회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국가와 국민을 지켜내는 것이 자신들의 꿈이었던 영원한 바다 사나이 55분 영웅의 이름을 불러보겠습니다."며 '서해수호 용사 55명'의 이름을 일일이 불렀다.
이른바 '롤콜'(Roll Call·이름 부르기) 방식의 추모로, 현직 대통령이 기념식에서 55명 용사를 일일이 호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단에 오른 윤 대통령은 제2연평해전,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전 등 전사자들의 이름을 고(故) 윤영하 소령을 시작으로 한상국 상사, 조천형 상사, 황도현 중사, 서후원 중사 등 55명의 이름을 5분여간 차례로 불렀다.
윤 대통령은 호명 시작 전 26초간 울먹거리며 말을 잇지 못하기도 했다. 손으로 코와 입을 가리며 한동안 고개를 숙였다. 호명 도중 유가족이 눈물을 훔치는 모습도 생중계 화면에 잡혔다.
윤 대통령은 "서해를 지키는 임무와 사명을 완수한 용사들. 대한민국은 55분의 용사를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며 호명을 끝냈다.
이후 기념사에서는 윤 대통령은 "오늘 우리는 북한의 무력 도발에 맞서 서해를 수호한 용사들의 헌신을 기억하기 위해 이 자리에 함께하고 있다"며 '북한의 도발'이란 표현이 총 6차례 언급됐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2020년·2021년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서 용사들을 기리면서도 '북한의 도발'이란 표현을 명시적으로 쓰지 않았던 점과 대비되는 대목이다.
이날 기념식 무대 우측에는 윤 여사의 기부금으로 만들어진 '3·26 기관총', 참수리 357호정과 천안함에 게양됐던 항해기와 부대기 및 함정 명패, 연평도 포격전 당시 북한의 방사포탄 파편을 맞은 중화기 중대 명판과 불탄 철모, 모형 함정 등이 전시됐다.
이날 기념식에는 김건희 여사,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와 주호영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대신해 참석한 김병주 의원(국회 국방위 야당 간사) 등 정치권 인사와 군 지도부, 유족, 대통령실 참모 등 1천200여명이 자리했다.
55명의 유가족 대표와 참전 장병의 좌석을 주요 인사석으로 배치하고, 윤 대통령의 헌화·분향 시에도 이들이 배석했다고 대통령실은 보도자료를 통해 설명했다.
김 · 희 · 철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