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페미니즘, 세금 대신 자기 돈·시간 내면 돼”

 - '성평등 문화 추진단'(버터나이프 크루) 사업 비난
 - "여가부 각종 지원사업 꼼꼼히 따져보겠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여성가족부 '성평등 문화 추진단'(버터나이프 크루) 사업에 대해 "성평등과 페미니즘이 그렇게 중요하다면 자기 돈으로 자기 시간 내서 하면 된다"고 반박했다. 

 

권 원내대표는 13일 오전 자신의 SNS에서 "자신의 이념이 당당하다면 사상의 자유시장에서 국민의 선택을 받으면 될 일이다. 왜 이념을 내세워 세금을 받아 가려 하느냐"며 해당 사업 계획 내용을 일일이 열거해 문제점을 지적한 뒤 이같이 밝혔다. 

 

버터나이프크루는 청년이 주도해 성평등 관점의 미래 비전을 만드는 청년 성평등 문화의 장(플랫폼) 이다. 청년들이 스스로 만든 이름으로 청년 스스로 성평등한 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해 고민하고 제안하는 활동 모둠을 의미한다.

 

이어 권 원내대표는 "문제에 대한 접근방식 자체가 틀렸다"며 "오히려 버터나이프크루와 같은 사업에 혈세가 3년 동안 들어갔다는 게 개탄할 일"이라고 지적했다.또한 "어떤 사업은 한국 영화에 성평등 지수를 매겼다. 여성 감독, 여성작가, 여성 캐릭터가 많이 나오면 성평등 지수가 높다고 한다"며 "여성 비중이 높아야 성평등이라 주장하는 것도 우습지만 이런 사업을 왜 세금으로 지원하느냐"고 비판했다. 아울러 그는 '공유주방에서 밥 먹고 성평등 대화하기', '모여서 파티하고 벽화 그리기' 등 일부 사업을 언급하며 "밥 먹고 토론하고 노는 건 자기 돈으로 하면 된다"고 강조하며 "버터나이프크루와 같은 사업은 공공성도 생산성도 없다. 사업 중단을 넘어 사업 전체가 감사를 받아야 한다"며 "앞으로 여가부의 각종 지원사업을 꼼꼼히 따져보겠다"고 말했다.

 

앞서 권 원내대표는 지난달 여가부가 버터나이프크루 4기를 출범한 것과 관련해 "여가부 장관과 통화해 해당 사업에 대한 문제점을 전달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당시에도 남녀갈등 개선이란 사업 효과 미비, 지원 대상의 페미니즘 경도, 관제 이데올로기 우려, 여가부의 관성 등을 문제점으로 거론했다. 아울러 자신이 발의한 여가부 폐지 법안을 그대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여가부는 "사업의 젠더 갈등 해소 효과성과 성별 불균형의 문제가 제기돼 사업 추진에 대해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발표했고, 지난달 말 사업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 · 도 · 윤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러시아, 불법 점령지서 첫 징집 실시 예정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여 불법적으로 자국 영토로 편입시킨 러시아가, 곧 점령지 주민들을 우크라이나를 상대하는 병사로 징집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10월 1일부터 러시아 연방 전역에서 가을 징집이 시작될 것이라며, 징집 대상지역으로는 작년 9월 자국 영토로 선언한 도네츠크, 헤르손, 루한스크, 자포리자 등 우크라이나 4개 점령지도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러시아가 지금까지도 우크라이나 점령지를 자국 영토라고 언급하는 이유는, 작년 9월 전쟁 개시이후 점령한 4개 지역에서 5일간 주민투표를 진행했고, 해당 지역 선거관리위원회들은 87~99%의 압도적 찬성으로 러시아 합병이 가결됐다고 밝힌 것에 기인한다. 다시 말해 해당지역의 주민들이 투표를 통해 스스로 러시아에 편입하기를 원했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4개 점령지 대표와 합병조약을 체결, 러시아 연방 편입을 선언한 것을 근거로 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당사국인 우크라이나와 국제사회는, 해당지역을 점령한 후 러시아군대의 강압적인 분위기속에서 주민들에게 찬성표를 던지도록 강요한 정황이 있다는 이유로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필두로 빼앗긴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