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언론 "중국, 신장서 지하핵실험 재개 움직임“

- 중국, 과거 지하갱도 5곳에서 핵실험 반복해

 

중국이 서부 신장위구르자치구에 있는 뤄부포호(羅布泊湖·Lop Nur) 핵실험장에서 지하 핵실험 시설 확장 공사를 진행하며 핵실험 재개 움직임을 보인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일 보도했다.

핵 전문가들이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뤄부포호에서는 2020년 10월 정지 작업이 새롭게 시작됐으며 2021년에는 대형 트럭이 오갔다. 올해 상반기에 6호 갱도에 전력망이 갖춰졌으며 지난 6월에는 폭약 저장고가 완공됐다. 주변에서는 핵미사일을 보관하는 새로운 지하 기지도 발견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아울러 지난 4월 공산당 산하 준군사조직인 신장생산건설병단이 '핵·방사선 사고 긴급 감시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중국 정부 입찰 사이트에 방호복과 (방사)선량 알람 등을 발주했다. 중국은 과거 이곳 5개 갱도에서 지하 핵실험을 반복해왔다.

미국 민간 위성사진 판독업체 '올소스 애널리시스' 관계자는 "공사 작업이 완료돼 언제든 지하핵실험을 재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1964년 10월 16일 첫 핵실험을 실시한 이후 1996년까지 공중과 지하에서 원자폭탄은 물론 중성자탄 실험을 진행했다.

중국은 1996년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에 가입하고서 핵실험을 중단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미국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은 중국이 2019년 뤄부포호 핵실험장에서 저강도 지하 핵실험을 했을 수 있다고 주장했으나 당시 중국은 근거가 없다며 "반박할 가치도 없다"고 반발했다.

닛케이는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군이 고전하는 모습을 보고 중국이 핵무기로 눈을 돌렸다"고 분석했다. 군축·핵 비확산 전문가인 아키야마 노부마사 히토쓰바시대 교수는 "중국이 소형 핵을 사용하겠다고 위협해 대만 해협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막고 싶어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웨덴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올해 6월 발간한 '군비와 군축 및 국제 안보에 관한 2022 연감'을 보면 핵탄두 보유 수에서 러시아(5천977기)와 미국(5천428기)이 절대다수를 차지했다. 중국은 350기로 러시아와 미국 다음으로 많았다.

 

장 · 춘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러시아, 불법 점령지서 첫 징집 실시 예정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여 불법적으로 자국 영토로 편입시킨 러시아가, 곧 점령지 주민들을 우크라이나를 상대하는 병사로 징집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10월 1일부터 러시아 연방 전역에서 가을 징집이 시작될 것이라며, 징집 대상지역으로는 작년 9월 자국 영토로 선언한 도네츠크, 헤르손, 루한스크, 자포리자 등 우크라이나 4개 점령지도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러시아가 지금까지도 우크라이나 점령지를 자국 영토라고 언급하는 이유는, 작년 9월 전쟁 개시이후 점령한 4개 지역에서 5일간 주민투표를 진행했고, 해당 지역 선거관리위원회들은 87~99%의 압도적 찬성으로 러시아 합병이 가결됐다고 밝힌 것에 기인한다. 다시 말해 해당지역의 주민들이 투표를 통해 스스로 러시아에 편입하기를 원했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4개 점령지 대표와 합병조약을 체결, 러시아 연방 편입을 선언한 것을 근거로 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당사국인 우크라이나와 국제사회는, 해당지역을 점령한 후 러시아군대의 강압적인 분위기속에서 주민들에게 찬성표를 던지도록 강요한 정황이 있다는 이유로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필두로 빼앗긴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