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전 장비 갖춘 중국 J-15D전투기 항모 탑재 첫 확인"

- SCMP "기존 전투기 플랫폼 개조해 다기능 전자전기 개발"



중국군이 현존하는 전투기 플랫폼(J-15)을 개조해 전자전(電子戰) 역량을 갖춘 다기능 전투기가 항공모함 함재기로 첫 선을 보였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3일 보도했다. 전자전은 전자적 수단을 활용해 적의 레이더, 통신망 등을 교란하는 군사활동을 통칭한다.

SCMP는 전자 장비(ECM)를 날개에 장착한 중국 인민해방군 전투기 J-15D 최소 2기가 이달초 다롄 조선소에서 보수 작업을 마친 항공모함 '산둥호' 갑판에 계류중인 것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전자전 장비를 갖춘 J-15D가 항공모함 함재기로 투입된 것이 확인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며, 중국이 전자전 장비를 갖춘 다기능 전투기를 개발하는 미국의 전략을 따라가고 있다고 SCMP는 분석했다.

중국의 군사전문가 저우천밍은 SCMP에 "현존하는 전투기 플랫폼에 기반한 다기능 전자전기 개발은 비용 절감과 효율성 때문에 현대전의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익명의 중국 군사 소식통은 이 매체에 "J-15D가 다른 J-15 전투기들과 더불어 항모 기반 전투기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장 · 춘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기고만장 이재명, 약일까.. 독일까..
헌정사상 최초로 야당 대표의 체포동의안 가결에 이어, 구속영장 실질심사에서 최종 기각이 결정됐다. 증거인멸의 우려가 구속할 만큼 상당하다고 볼 수 없다는 취지였다. 소위 ‘개딸들’을 비롯한 지지자들은 환호했고, 이재명 대표는 구치소를 나와 성명을 발표한 뒤 녹색병원으로 돌아갔다. 재판정에 들어갈 때 침묵하던 모습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였다. 이 대표의 구송영장 기각이 정치적 시각에 있어 약일지 독일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들이 대세다. 친명, 비명 내지 반명으로 사분오열된 당 내부의 어수선한 분위기를 차치하더라도, 일반상식에 입각해서 대다수 국민들이 이를 어떻게 볼지가 관건이다. 세기의 재판을 두고 고심했던 재판부는 “위증 교사 및 백현동 개발 사업의 경우 현재까지 확보된 인적·물적 자료에 비춰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했다. 대북 송금 혐의의 경우 “피의자의 주변 인물에 의한 부적절한 개입을 의심할 만한 정황들이 있기는 하다”면서도 이 대표가 직접적으로 개입하였다고 단정할 만한 자료는 부족한 점 등을 들어 “증거인멸의 염려가 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했다. 당초 검찰은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쌍방울 불법 대북 송금’ ‘백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