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을 향한 한국적 접근’... 행통 기획강좌 5

- 중국이 따라했던 한국의 발전모델
- 국제협력을 통한 발전의 진보성에 대해 몰이해
- 문제해결의 방식은 과거보다는 미래에서 찾아야!

 

(사)행복한통일로(이하 행통) 기획강좌의 다섯번째 강의는 인터넷 뉴스 리베르타스 편집인이며, 전(前)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인 임수환 박사가 진행하였다.

 

‘발전을 향한 한국적 접근’을 주제로 1, 2부 강의를 진행한 임수환 박사는 ‘새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가 21세기 개발도상국의 발전모델로 인식되는 상황의 허구성을 언급하면서, “중국은 애초 한국의 발전경로를 추종하여 산업화를 이루었지만, 산업화 이후에는 성공적인 가치들을 배격하고 암울했던 과거의 공산당 지배체제를 공고화 하는 쪽으로 선회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애초 중국의 모델이 되었던 한국의 발전경로는 ‘국제협력을 통한 발전’ 과정이었고, 국제자본(GATT/WTO, World Bank, IMF)과 기술을 도입하여 생산한 상품을 국제시장에 판매함으로써 눈부신 오늘날의 성과를 이루었다는 것이다.

 

또한 임 박사는, “농촌에 대한 착취가 없는 산업화 과정으로 해외자본이 투자기금을 형성”했던 보기 드문 사례로, 한국적 발전모델의 진보성에 대해서도 높이 평가했다.

 

이에 대한 명문화된 사례로 제헌헌법 제 82조를 언급했다.

 

“대한민국의(大韓民國)의 경제질서(經濟秩序)는 모든 국민(國民)에게 생활(生活)의 기본적(基本的) 수요(需要)를 충족(充足)할 수 있게 하는 사회정의(社會正義)의 실현(實現)과 균형(均衡)있는 국민경제(國民經濟)의 발전(發展)을 기(期)함을 기본(基本)으로 삼는다. 각인(各人)의 경제상 자유(經濟上 自由)는 이 한계내(限界內)에서 보장(保障)된다. ( 제헌헌법 제84조)”

 

임수환 박사는 “세계사적으로 아픈 역사와 경험이 난무했음에도 인류는 끊임없이 발전을 거듭해왔는데, 현재는 갈등에 의한 손실로 말미암아 한계점에 도달했다”고 지적하면서, “문제해결의 방식은 미래에서 찾아야지 과거에서 찾으려 해서는 안된다”고 작금의 한국 정치 현실을 비판했다.

 

끝으로 “공산당이 기업과 개인을 감시하고 정보를 통제하며, 맹목적인 애국주의와 역사조작에 나서고 있는 중국식 발전모델은 미래의 이상이 아니다”라고 비판한 후, “한국의 발전가치였던 국제협력이야말로 세계발전을 향한 통로임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마무리 했다.

 

 

매주 화/수요일 오후 7시부터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사)행복한통일로 기획강좌의 다음 순서는 오는 7월 20일(화) ‘김정은도 꼭 알아야 할 진짜 북한의 속살’ 저자인 이영주씨가 진행한다.

 

김 성 일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또 등장한 김여정, 우리 무기는 서울 겨냥
북한의 김정은의 동생이자 노동당 부부장인 김여정은 17일 보도된 담화를 통해, 북한이 개발 중인 무기체계가 러시아 수출용이 아니라 오로지 대남용임을 강조했다. 김여정 부부장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된 담화에서, 북한의 무기 생산이 '대 러시아 수출용'이라는 주장은 "가장 황당한 억설"이라며 이를 강력히 부인했다. 그녀는 북한이 자체 군사기술력을 어느 나라에도 수출하거나 공개할 의사가 없다고 말했다. 또한 그녀는 북한이 최근 공개한 방사포와 미사일 등 전술무기들이 "서울이 허튼 궁리를 하지 못하게 만드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이러한 무기들의 개발 목적이 오로지 대남용임을 드러냈다. 김여정은 이러한 무기 개발을 통해 군대의 전쟁 준비와 전쟁 억제력을 더욱 완벽하고 질량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북한의 최우선 과제임을 강조했다. 이와 동시에, 김여정 부부장은 적대세력들의 정치적 기도가 노골화됨에 따라 북한도 필요한 활동을 더 활발히 진행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이는 국제사회의 압박에 대한 북한의 강경한 대응 방침을 시사한다. 한편, 김정은은 최근 군수 부문을 집중적으로 현지 지도하며, 무기체계 개발 현황을 챙기는 등 군사적 준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