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에서 중국으로 들어간 공산주의

- 멸망에 임박한 중공, 경제 개혁 개방 실시
- 상업화된 교육 운영 모델 통해 이윤 창출
- 양심 교사, 중공체제하의 교육계 흑막 폭로

러시아가 10월 폭력 혁명을 일으킨 후, 중국에 공산주의가 들어왔다. 

 

 

 

초기 중국 공산당의 시작은 만주를 거쳐 러시아로 올라간 공산주의자들이 폭력적인 10월 혁명을 직접 목격하고 마르크스주의를 배우면서 부터다. 이후 국제 공산당은 중국 공산혁명을 지지하기 위해 대표들과 군사 고문들을 대거 파견했는데, 이중 다수가 만주(滿州)에서 중국으로 들어갔다. 국제 공산당 대표들은 중국에 도착하자마자 곧바로 공산당 설립을 추진하며 고속성장을 지도했다. 이러한 공산주의는 주변국가로 확산돼 지금도 공산 치하에 놓인 북한을 포함,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들어갔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중국 공산당과 국민당 사이에 치열한 내전이 벌어졌고, 마오쩌둥(毛澤東모택동)이 이끄는 중국 공산당이 승리해 공산주의가 중국을 지배했다. 이후 30년 가까이 마오쩌둥(毛澤東모택동)이 이끌던 공산당은 일련의 정치운동을 벌이고 개인소유의 영토를 몰수해  정치 및 경제의 후퇴를 초래했으며, 자연과 생태계를 파괴하고 약 1억의 인민들에 대해 대량학살을 자행했다.

 

토지개혁운동은 지주의 땅을 몰수하고, 중국 엘리트들을 정치·경제적으로 철저히 타도했으며, 농촌을 통제함으로써 토지를 공산당의 재산으로 만들었다.

 

반혁명운동 진압, 토지개혁운동, 항미원조전쟁(6.25)을 통해 1950년에서 1953년 사이 중국 공산당은 모두 5백만 명을 처형했다. 반대자를 물리치고 신생 정권을 공고히 한다는 것이 그들의 명분이었다. 토지개혁은 곧바로 대기근으로 이어져 수천 만명이 굶어죽었다. 1966년부터 1976년까지 10년간 마오쩌둥(毛澤東)은 문화대혁명을 일으켜 8000만명을 사지로 몰아넣었다.

 

멸망에 임박한 중공은 경제 개혁 개방 실시

 

1979년부터 덩샤오핑(鄧小平)이 이끌던 중국공산당은 어쩔 수 없이 경제개혁과 개방에 나섰지만, 정치개혁, 자유민주법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신 공산당 고위 간부 일가의 특권적 부패로 중국인들의 반발을 샀고, 1989년 마침내 민주화운동이 일어나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천안문 대학살을 일으키며 정치적 탄압을 시작했다. 1989년부터 1991년 사이 세계 11개 공산국가들이 붕괴하고 멸망하며, 공산주의가 근본적으로 인민에게 행복을 주지 못했음을 증거했다.

 

그러나 중국 공산당은 지금까지도 막강한 군대와 공안(公安)을 장악하고 있어 정권이 와해되지 않고 있으며, 중공의 부패가 계속 심화되고 있을 뿐 아니라, 관리들이 상인과 결탁하여 중앙정부부터 지방정부까지 부패가 만연해 있어 국민들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국 민간의 한 연구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의 91%가 가족이 해외로 이민을 가거나 외국으로 가 있으며, 중국 공산당 서기 위원 중 88%는 친족 및 자녀가 해외로 이민을 갔고, 1백18만명의 배우자와 자녀가 외국에 정착했다.

 

중국 공산당 고위 간부 특권층이 외국에 숨겨둔 자산은 (1) 미국 5,200억 달러 (2) 캐나다 2,000억 달러 (3) 영국 1,800억 달러 (4) 프랑스 1,300억 달러 (5) 호주 1,200억 달러 (6) 스페인 820억 달러 (7) 이탈리아 600억 달러 (8) 독일 550억 달러 (9) 네덜란드 300억 달러 (10) 스위스 360억 달러 등이다.

 

공산당은 상업화된 교육 운영 모델 통해 이윤 창출

 

유치원부터 고교에 이르는 긴 교육기관은 인재 양성소가 아니라 돈 생산라인이다. 중국인의 유전자가 나쁘지도 않고 아이큐(IQ)도 나쁘지 않지만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폐품'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러한 '폐품'을 만드는 과정은 길고, 거기엔 갖가지 요소나 이해관계자가 많다. 중국의 교육모델이 상업적으로 운영되는 이유는 정치, 행정, 관리, 사회, 문화, 개인 심리 등 다양하다.

 

학교나 교육시장에서나 학부모들이 선택할 수 있는 교육에는 과외나 보충수업 같은 비정규 '프로그램'이 많이 제공된다. 많은 정규기관 교육자들이 돈 때문에 이런 과외에만 몰두하고, 정작 맡은 강의는 건성으로 한다. 게다가 각 학교나 기관들은 그들의 교육 프로그램을 정교하게 마케팅하여, 모든 '프로젝트'를 그럴듯하게 말하는데, 어느 것 하나 만족스러운 것 같지 않고, 아이들은 적게는 경쟁력이 없고, 많게는 학업을 전폐하는 것 같다. 상업화된 마케팅 기법으로 중국 교육계는 '다단계 판매 조직'에 빠져드는 학부모가 많다.

 

양심 교사, 중공 체제 하의 교육계 흑막 폭로

 

학교가 돈을 남발하는 현상이 나타나자,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시험 부정행위를 가르치고, 학부모가 선생님에게 뇌물을 건네고, 휴대전화 요금을 대납하고, 선생님에게 식사를 대접하며, 선생님에게 자신의 아이를 많이 돌보게 하였다. 학교에서 교사 사이에 부적절한 성관계까지 있었다.

 

중국 대학 학술 부정: 논문 표절

 

논문 매매은 이미 산업화를 형성하여 매출액 10억 위안에 이르렀다. 이것은 아직 보수적인 견적에 불과하며, 어떤 것들은 20억~30억 위안으로 추정된다.

 

국비 의료 폐지, 의료 상업화 실시

 

이를 전제로 의료체제 개혁 시장화는 영리 목적의 병원과,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의사들이 직업윤리를 상실해, 의사들이 겁없이 메스를 들고 수술대에 서며, 항생제로 환자들에게서 이익을 얻거나 심지어는 장기매매 등을 통해 돈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입원 67일 만에 500만 위안 넘게 썼다

 

한 환자는 하얼빈의 의대 제2부속병원에 67일간 입원해 139만7000 위안을 썼다. 또다른 노인환자의 가족은 의사의 건의로 400여만 위안의 약품을 사서 병원에 맡겼는데, 구급용까지 모두 550만 위안의 돈이 들었다. 그러나 몇 백만 위안의 비용도 노인의 생명을 되돌리지는 못했다. 2005년 8월 6일, 노인은 응급처치도 받지 못한 채 병원에서 숨을 거두었다.

 

중국공산당 치하에서 아직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많은 내막들이 남아 있다.

 

 

장 춘 <객원기자>

핫 뉴스 & 이슈

북한의 청년 충성심 강조, 정치적 도구로 악용
북한이 평양 서포지구에 새롭게 건설한 '전위거리' 준공식이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사건은 단순히 새로운 거리의 탄생을 넘어, 북한 청년들을 정치적 도구로 활용하고 있는 김정은 정권의 악랄한 선전술이 다시 한번 도마 위에 오르게 됐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대대적으로 선전된 이번 행사는, "조국의 부름에 한몸을 기꺼이 내댈 줄 아는 충직하고 영용한 청년들"이라며 청년들의 충성심을 강조했다. 하지만 이는 북한 청년들이 김정은 정권의 잘못된 정책으로 인해 지구상에서 가장 비참한 처지에 놓인 것을 감추기 위한 선전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북한은 청년들을 이용해 자신들의 체제를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청년들을 정치적 도구로 전락시켜 외부세계의 '공격'에 맞서 싸우는 척하는 모습을 보여주려고 애쓰는 모습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북한 청년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고통을 외부에 드러내지 않으려는 의도로 보인다. 또한, 전위거리 건설에 참여했다는 청년 10만 명이 나섰다는 주장은, 청년들을 건설 현장에 동원하는 것이 자발적인 행동이 아니라, 정권에 의한 강제적인 동원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청년들을 사상적으로 통제하고 체제의 보위 역할을 강요하는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