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부장 ‘친강’ 해임 미스터리

- 한국과의 외교에 파장을 일으킬지 주목

 

중국의 ‘명목상’ 입법 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는 7월25일, 친강 외교부장을 해임하고 그 후임으로 왕이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중앙외사공작위원회 판공실 주임)을 임명한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장 진강이 어느 날 갑자기 공식 석상과 사적 모임에서 자취를 감춘 한 달 뒤 돌연 외교부가 그의 사퇴 소식을 알리고, 전 외교부장 왕이가 돌아온 것이다.

 

중국의 외교부장은, 한국이라면 외교부 장관에 해당한다. 중앙정치국 위원은 당의 한 직책에 불과하다. 그러나 공산당이 항구적으로 집권하는 중국에선 ‘공산당의 최고 외교관’이 외교부장의 상급자다. 왕이는 당분간 공산당 중앙위원(외교 담당)과 외교부장을 겸임할 전망이다.

 

올해 57세인 진강은 지난해 12월 중국 외교부장에 임명됐다. 주미 중국 대사로 근무 중이었던 그를 중국으로 부른 사람은, 같은 해 10월에 세 번째 연임을 확정한 시진핑 주석이었다. 나이로나 경력으로나 이례적 발탁이었다. 시진핑이 친강을 특별히 신임한다는 소문도 있었다

 

외교부장으로 취임한 친강은 지난 6월10일 방중한 앤서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을 맞는 등 미국의 중국 고립화 정책에 대응하는 데 여념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같은 달 25일엔, 바그너 용병의 실패한 반란 직후 중국으로 날아온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 차관을 만나 담소를 나누는 모습이 포착됐으나, 그날 이후 아무도 친강을 보지 못했다.

 

외교부장이란 사람이 국빈 방문은 물론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같은 중요한 국제회의에도 도통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더 이상한 일은 국내외에서 진강의 거취에 대한 호기심이 들끓는 와중에 정작 중국 외교부는 불안한 침묵을 지킬 뿐이었다.

 

지난 7월 초에야 중국 외교부는 진강의 부재에 대해 “건강상 이유 때문”이라는 공식 입장을 내놓았다. 이런 상황이었으니 진강의 실종에 대한, 많은 의혹이 넘실거리게 된 것은 당연하다. 그의 이름은 중국 최대 검색엔진인 바이두에서 다른 모든 셀러브리티를 제치고 인기 검색어로 떠올랐다. 가장 많은 루머는 그가 혼외정사로 인해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의 실종과 겹치는 시기에, 한 인기 TV 프로그램 진행자이며 소셜미디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여성이 갑자기 사라진 것과 연결된 것 같다. 〈이코노미스트〉(7월25일)는 “지난 몇 주 동안 베이징의 권력 엘리트들은 진강의 실종, 특히 사생활에 관한 소문을 주고 받았다”라고 썼다.

 

 

중국 당국이 최고위 관료에 대한 소문이 퍼져나가도록 검열도 하지 않은 채 손 놓고 보기만 한 것도 이례적이다. 사실 중국 최고위 관료들의 성적 스캔들 자체는 희귀한 일이 아니다. 고위 관료나 유명인이 어느 날 갑자기 사라졌다가 몇 달 뒤에야 감찰이나 수사를 받고 있었다고 밝혀지는 것 역시 아주 드물지는 않다. 시진핑 체제에서는 더욱 그랬다.

 

전인대가 진강 해임을 발표한 7월25일 저녁, 비로소 중국 외교부 웹사이트에서 진강의 프로필이 삭제되었다. 그의 사진과 환영 메시지가 있던 페이지는 “업데이트 중”이란 문구로 대체되었다. 중국 정부는 7월26일 현재까지도 진강이 어디 있는지 혹은 감찰이나 수사를 받고 있는지 등 거취 관련 사항을 밝히지 않고 있다.

 

이번 사건이 한국과의 외교관계에 어떤 파장을 일으킬지 귀추가 주목된다.

 

박 · 장 · 식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또 등장한 김여정, 우리 무기는 서울 겨냥
북한의 김정은의 동생이자 노동당 부부장인 김여정은 17일 보도된 담화를 통해, 북한이 개발 중인 무기체계가 러시아 수출용이 아니라 오로지 대남용임을 강조했다. 김여정 부부장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된 담화에서, 북한의 무기 생산이 '대 러시아 수출용'이라는 주장은 "가장 황당한 억설"이라며 이를 강력히 부인했다. 그녀는 북한이 자체 군사기술력을 어느 나라에도 수출하거나 공개할 의사가 없다고 말했다. 또한 그녀는 북한이 최근 공개한 방사포와 미사일 등 전술무기들이 "서울이 허튼 궁리를 하지 못하게 만드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이러한 무기들의 개발 목적이 오로지 대남용임을 드러냈다. 김여정은 이러한 무기 개발을 통해 군대의 전쟁 준비와 전쟁 억제력을 더욱 완벽하고 질량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북한의 최우선 과제임을 강조했다. 이와 동시에, 김여정 부부장은 적대세력들의 정치적 기도가 노골화됨에 따라 북한도 필요한 활동을 더 활발히 진행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이는 국제사회의 압박에 대한 북한의 강경한 대응 방침을 시사한다. 한편, 김정은은 최근 군수 부문을 집중적으로 현지 지도하며, 무기체계 개발 현황을 챙기는 등 군사적 준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