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54만명 "사회에서 고립돼"

- 복지부, 고립·은둔 청년 전국 단위 첫 실태조사예정
- 보사연 "19∼34세 청년 5%가 고립"…경제적으로도 취약

 

1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고립·은둔 청년 현황과 지원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19∼34세 청년 가운데 타인과의 의미 있는 교류 없이 사실상 사회에서 '고립'된 청년이 2021년 기준으로 100명 중 5명(5.0%)에 달한다. 2019년엔 3.1%였다가 코로나19를 겪으면서 크게 늘었다.

 

이 비율을 2021년 전체 청년 인구(1천77만6천 명)에 적용해보면 고립 청년의 수는 53만8천 명에 달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연령별 고립 인구 비율은 35∼49세 5.4%, 50∼64세 6.6%, 65∼74세 8.3%, 75세 이상 10.5%로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높다.

 

보사연은 '동거하는 가족 및 업무상 접촉 이외 타인과의 유의미한 교류가 없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지지체계가 없는 경우'를 '고립' 상태로 봤다.

 

보고서에 따르면 고립 청년들은 그렇지 않은 청년들보다 삶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낮았다. 특히 고립 청년 중 삶에 '매우 불만족'한다고 답한 비율은 17.2%로, 비고립 청년(4.7%)보다 3배 이상 많았다.

 

고립 청년들의 경우 '매우 불만족'과 '불만족'(26.8%)을 합친 응답률이 44%에 달했고, '약간 만족'(8.3%)과 '매우 만족'(8.0%)은 16.3%에 그쳤다.

 

연구를 담당한 김성아 부연구위원 "고립 청년은 고립되지 않은 청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덜 행복하다"며 "고립 상태가 자발적인 선택에 의한 것이었다면 고립 청년이 덜 행복할 이유가 없다. 고립 청년이 덜 행복하다는 것은 이들의 취약성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립 청년의 절반 이상(53.1%)은 지난 1주일간 경제활동을 하지 않았다. 비고립 청년 중엔 그 비율이 41.5%였다. 주관적 소득수준에서도 고립 청년의 32.8%가 '매우 부족하다'고 답해, 비고립 청년 응답률(16.9%)보다 훨씬 높았다.

 

고립·은둔 청년이 늘어나자 정부는 이들을 새로운 복지 수요로 명시하고, 지원 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정부는 그동안 정책 사각지대에 있던 고립·은둔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첫 전국 실태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안 · 두 · 희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현장에서 지켜 본 대북 풍선 사업
한국의 한 교회 지하실에서 교회 자원봉사자, 시민 자원봉사자, 탈북자들이 분주히 물건을 포장하고 있었다. 바닥 상자에는 약품, 커피, 과자, 라면, 복음전단지, USB, 캔디, 학용품 그리고 달러가 들어 있었고, 교회와 선교단체의 다른 단체들이 나눠서 나눠서 포장하고 있는 이 물건들은, 한국 국민들의 희망을 담아 그리스도의 구원을 북한으로 날아가 그들의 배고픔에 도움이 될 것이라 이들 봉사자들은 확신했다. 또한 그들은 하나님의 사랑이 아니라면 누가 돈과 시간을 들여 그렇게 하겠냐고 어려운 가운데 서로 서로를 격려했다. 부활절 저녁, 짙은 어둠이 깔려있는 경기도 북부지역 38선 부근에서 청년 자원봉사자들이 긴장한 채, 꾸러미에 부착하는 장치로 풍선이 북한 상공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꾸러미를 풀어 물건을 땅에 떨어뜨리는 장치를 다시한번 점검했다. .풍선 제작도 숨가쁘게 진행되고 있었는데, 이 풍선들은 수소를 주입해 물건을 담은 비닐 보따리를 싣고 바람을 타고 곧장 북한으로 날아갈 것이다. 열심히 풍선작업을 하고 있는 MZ세대 A양에게 인터뷰를 시도해봤다. - 어떤 이유으로 이 같은 풍선 날리기에 참여하게 되었나요? 저는 모태신앙으로 어렸을 때 교회를 다녔고 그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