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설하고 있는 찰리 커크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우파 진영의 대표적 활동가였던 찰리 커크(Charlie Kirk)가 암살된 이후, 미국 사회가 ‘표현의 자유’와 ‘무관용 정책’ 사이에서 격렬히 요동치고 있다.
커크의 죽음을 조롱하거나 비하한 발언을 이유로 해고·징계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정치적 분열이 한층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커크의 사망 이후 불과 며칠 사이에 교사, 공무원, 민간 기업 직원, 언론인 등 최소 15명이 온라인 발언으로 해고되거나 정직 처분을 받았다. MSNBC 정치평론가 매슈 다우드는 방송에서 커크의 죽음을 ‘자업자득’으로 해석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가 즉각 해고됐다.
숀 더피 미 교통부 장관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커크 암살을 축하한 파일럿을 즉시 비행에서 배제했다”며 “그들은 반드시 해고돼야 한다”고 강경 입장을 밝혔다. 국방부 역시 군인들이 커크의 죽음을 비하하거나 축하하는 게시물을 올리지 못하도록 ‘무관용(zero tolerance)’ 방침을 발표했다.
미국 우파 진영은 커크 암살범 처벌을 넘어서, 그의 죽음을 모욕한 발언자들까지 책임을 묻겠다는 기류다. 극우 성향 인플루언서 로라 루머는 “커크의 죽음을 축하한 사람들을 온라인에서 낱낱이 찾아내 그들의 직업적 미래를 파괴하겠다”며 색출을 예고했다.
AP통신은 이번 사태가 단순한 해고를 넘어 사회 전반의 ‘표현의 자유 시험대’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과거에도 소셜미디어 발언으로 직장을 잃은 사례는 있었지만, 이번에는 조치 속도와 강도가 전례 없이 빠르고 강하다는 점에서 파장이 크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고용주의 권리와 근로자의 권리 사이의 균형이 다시 논쟁에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욕타임스는 이번 사건이 미국 사회의 뿌리 깊은 정치적 분열을 다시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커크의 죽음을 어떻게 말할 것인가’라는 문제는 단순한 추모나 조롱의 문제를 넘어, 서로 다른 정치 진영이 상대방의 발언 자체를 용납하지 않는 시대에 진입했음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안·희·숙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