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발언하고 있는 장동혁 대표 |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한국인을 포함한 대규모 체포 사태가 발생하면서 국내 정치권이 충격과 우려를 표하고 있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6일 페이스북을 통해 “체포된 한국인이 약 300명에 달한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교민 사회와 기업 현장이 충격에 휩싸였다”며 정부의 즉각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그는 “주한미국대사조차 공석인 상황에서 외교당국의 대응 공백이 여실히 드러났다”며 “정부는 신속대응팀을 급파해 교민 보호 조치를 강화하고, 체포된 국민의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사태가 되풀이된다면 기업 투자와 고용 안정에까지 국가적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국민의힘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이재명 정부가 지난달 25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700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했지만, 11일 만에 현대차-LG 합작 공장에서 한국인들이 무더기로 체포되는 일이 벌어졌다”며 “이것이 이른바 ‘실용외교’의 민낯”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국민의 안전도, 기업 경쟁력도 챙기지 못하는 정부의 무능이 드러났다”며 “700조 원 선물 외교는 결국 빈손 외교로 돌아왔다”고 직격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의 공세를 강하게 비판했다. 민주당 백승아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한국인 체포 사건은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 중대한 외교 사안”이라며 “정쟁을 위한 억지 주장은 결국 한미동맹을 훼손하는 무책임한 행위”라고 반박했다.
백 대변인은 “지금 필요한 것은 정략적 공세가 아니라 초당적 협력”이라며 “국민의힘은 정쟁을 멈추고 실질적 해법 마련에 동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태는 대규모 해외투자와 맞물려 한국 기업과 교민 사회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사건으로 번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체포 사건을 넘어, 노동·비자 문제, 현지 법 집행 절차와의 충돌, 더 나아가 동맹 관리 능력을 가늠하는 시험대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정부는 교민 보호와 기업 활동 안정화를 위해 어떤 외교적 해법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이·상·만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