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노동신문 72 |
북한 노동신문은 9월 3일 베이징에서 열린 김정은과 블라디미르 푸틴의 회담을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기사에서는 “형제적 의무”와 “특수한 신뢰관계”를 반복하며 양국의 우호를 강조했지만, 실제로는 북한이 국제사회에서 얼마나 좁은 외교적 공간에 갇혀 있는지를 보여주는 장면이다.
이번 만남의 배경은 중국의 전승절 80주년 행사였다. 김정은과 푸틴이 베이징에서 다시 손을 잡은 것은 북·중·러가 반서방 전선을 연출하려는 상징적 이벤트일 뿐, 실질적인 경제·군사 협력 성과는 공개되지 않았다.
국제 제재와 경제난에 허덕이는 북한이 의지할 곳은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러시아 역시 전쟁으로 인해 고립된 상황이다. 결국 “전승절 외교”는 고립된 두 국가가 서로의 곤경을 위로하는 자리에 그쳤다.
김정은은 회담에서 러시아의 주권과 안전을 “형제적 의무”로 지지하겠다고 천명했다. 이는 곧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정당화하는 발언으로, 국제법을 위반한 전쟁에 북한이 사실상 동조함을 의미한다.
북한이 자국의 안보도 불확실한 상황에서 외부 전쟁을 ‘의무’로 떠안겠다고 밝힌 것은 국제사회에 도전장을 내민 것이자, 스스로를 더욱 제재와 고립의 수렁에 빠뜨리는 행위다.
푸틴은 회담에서 2차대전 당시 쿠르스크 전투에 참전한 ‘조선군인들의 희생’을 치켜세웠다. 하지만 이는 오늘날 북한 주민들이 직면한 식량난, 전력난과는 아무 상관이 없는 역사적 미화일 뿐이다.
북한 매체가 이를 대대적으로 부각하는 것은 현실의 고통을 덮으려는 고전적 선전술에 불과하다.
이번 회담은 북한·러시아·중국이 반미·반서방 전선을 구축하는 듯한 이미지를 만들려 했지만, 실제로는 국제사회의 고립과 제재 속에 모인 세 지도자의 ‘고립의 삼각축’을 드러냈다.
이는 협력이라기보다 각자의 위기를 잠시 잊기 위한 상징적 연대이며, 북한 주민에게 돌아오는 실질적 이익은 없다.
노동신문이 묘사한 ‘친선적 분위기’는 북한 정권이 외교적 성과를 과장하려는 연출에 불과하다. 김정은의 베이징 회담은 국제사회와의 정상적 협력 대신 고립국가끼리 모여 상호 위로하는 자리가 되었으며, 북한이 스스로 외교적 자리를 더욱 좁히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다.
김·도·윤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