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노동신문 71 |
북한 노동신문은 이번에도 “10월 대축전을 향한 애국의 용진력”이라는 거창한 수사를 동원해 8월 인민경제계획 완수를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기사에 따르면 금속·화학·전력·석탄·기계·광업·림업·운수·건재·경공업·수산업 등 거의 모든 부문에서 “성과적 완수”가 이뤄졌다고 한다. 그러나 이 모든 기록이 실제로 검증 가능한 수치나 구체적 근거를 동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는 또 하나의 정치 행사용 성과 부풀리기에 지나지 않는다.
노동신문은 무산광산, 흥남비료련합기업소, 북창화력발전소, 상원세멘트련합기업소 등 특정 사업소들의 ‘혁신적 성과’를 나열하지만, 생산량·가동률·효율 수치 등은 모호하거나 단편적으로만 언급된다.
실제 북한 경제의 구조적 위기—원자재 부족, 노후화된 설비, 국제 제재로 인한 대외무역 단절—를 감안하면, 매달 모든 부문에서 계획이 ‘성과적으로 완수’된다는 주장은 현실과 동떨어진 선전 문구일 뿐이다.
신문은 모든 성과를 “애국의 열의”, “애국의 용진력” 덕분이라고 포장한다. 이는 실질적 성과보다는 주민들의 희생과 강제 동원을 미화하는 언어다.
철도 부문에서는 ‘짐 더 끌기’, 탄광 부문에서는 ‘한 교대 더하기’, 공업 부문에서는 ‘만가동’ 같은 표현이 나오는데, 이는 사실상 과로와 자원 고갈을 강요하는 방식이다.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 생활의 질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오직 정치적 충성심만 강조된다.
모든 성과는 “당 창건 80돐 대축전”을 위한 것이라고 연결된다. 경제가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이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정치적 기념일을 위한 일회성 동원 수단으로만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경제가 정치행사의 하위 수단으로 전락한 구조적 문제는 북한 경제가 지속적으로 자립을 이루지 못하는 근본 원인 중 하나다.
노동신문은 “인민생활 향상”을 거듭 언급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다. 만성적인 식량난과 전력난, 생활필수품 부족은 국제 사회가 이미 확인한 사실이다. 기사 속 화장품·신발·편직공장 성과 자랑은 주민들에게 돌아가는 혜택과는 거리가 멀다. 실제 주민들에게는 여전히 배급 부족과 장마당 의존이 일상화되어 있다.
노동신문이 말하는 “전인민적 성과”는 허구적 수사와 강제 동원의 결과일 뿐이다. ‘10월 대축전’이라는 정치적 행사에 모든 경제 성과를 맞추는 선전 방식은, 주민들의 삶을 위한 경제가 아닌 권력 유지 도구로서의 경제를 드러낸다.
화려한 수치와 성과 뒤에는 만성적 부족, 강제노동, 생활고라는 현실이 가려져 있다.
김·도·윤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