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조선중앙통신 69 |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이 새로 조업한 군수기업소의 미사일 종합생산공정을 시찰했다고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미사일 자동화 생산체계를 구축해 생산성과 품질을 동시에 담보할 수 있는 “경이적 변혁”을 이뤄냈다고 자찬하며, 김정은은 새로운 생산계획과 국방비 지출안을 직접 비준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도는 북한 정권의 왜곡된 우선순위와 국제사회를 향한 위험한 메시지를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북한의 미사일 공정 자동화는 정권이 주민의 먹고사는 문제보다 무기 생산에 국가적 자원을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식량난, 전력난, 의료 부재 등 일상적 위기는 방치된 채,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자원이 무기 개발에 투입된다.
김정은의 “만족”이라는 표현은 군수공업 엘리트들에게만 해당될 뿐, 일반 주민들의 삶에는 오히려 더 큰 결핍과 통제를 의미한다.
보도는 이번 성과를 “국방과학연구집단과 로동계급의 지혜와 열정” 덕분이라 치켜세웠다. 하지만 이는 과학기술 발전의 목적을 왜곡하는 사례이다. 첨단 과학이 인민 복지를 위한 농업·의료·산업 혁신이 아니라 파괴적 무기 증산에 쓰이고 있다는 점에서, 북한 체제의 과학기술 정책은 주민의 미래를 볼모로 잡고 있다.
김정은이 직접 세 건의 새로운 생산능력 확대 계획과 국방비 지출을 비준했다는 사실은 북한이 향후 더 많은 미사일 시험발사와 무력시위를 예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동북아 안보를 불안정하게 만들 뿐 아니라, 러시아·중국과의 군사 협력 강화와 맞물려 새로운 군비경쟁의 불씨가 될 수 있다. 북한은 이를 “전쟁억제력”이라 부르지만, 실제로는 긴장을 고조시키는 도발적 행위일 뿐이다.
이번 시찰은 단순한 군수산업 점검이 아니라, 내부적으로는 엘리트 충성을 결집시키고 주민들에게 “강군 건설”의 이미지를 심어주는 정치적 이벤트다. 주민들에게는 생필품 부족을 외면하게 만들고, 체제 유지의 정당성을 미사일 성과에서 찾으려는 전형적인 선전전이다.
김정은의 미사일 공정 시찰 보도는 북한이 “군사적 성취=체제 생존”이라는 위험한 계산법에 여전히 매달려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무기의 자동화 생산 라인 위에 세워진 체제는 주민의 굶주림과 국제사회의 고립이라는 모래 위의 성에 불과하다.
북한이 진정한 안정을 얻기 위해서는 미사일이 아니라 주민의 삶을 우선하는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
김·도·윤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