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조선신보 69 |
최근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의 쬬세이탄광에서 진행된 6차 잠수조사에서 조선인 희생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이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이는 1942년 수몰사고 이후 83년 만에 확인된 사례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 그러나 이 중요한 발견을 다루는 방식에서 조선신보와 북한 선전기구는 또다시 반일(反日) 선동에만 몰두하며 현실적이고 객관적인 진상규명 노력의 방향을 흐리고 있다.
유골은 한국인 잠수사들의 참여로 수습되었고, 경찰 감식으로 사람의 뼈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북한식 보도는 이 과정을 단순한 조사 성과로 보지 않고, 즉각적으로 "일제 식민지배의 만행"과 "일본 정부의 회피 불가한 사죄·보상"으로 연결시켰다.
역사적 진실을 규명하는 노력은 분명 필요하지만, 발견 직후부터 이를 정치적 공세의 수단으로 삼는 것은 희생자 추모와 학문적 접근을 왜곡시키는 행태다.
시민단체 관계자들의 발언 중에는 "슬픔과 고통의 상징이었던 바다가 이제 평화의 상징이 되었다"는 식의 표현이 있었다. 그러나 조선신보는 이를 곧장 북한식 ‘도덕적 우월성’ 서사에 맞추어 과장했다.
유골 발견은 어디까지나 과거의 비극을 진지하게 돌아보고 교훈을 얻는 계기가 되어야지, 정치적 선전용 구호로 전락할 일이 아니다.
보도는 일본 정부가 더는 "사고의 진상규명과 사죄, 보상을 외면할 수 없게 되었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실제 진상규명은 법의학적 검증, 역사학적 연구, 그리고 유족과 지역사회의 합리적 대화 속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조선신보는 이 과정을 무시한 채, 일방적 추궁과 정치적 책임 전가로만 몰고 간다. 이는 역사적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협력의 길을 오히려 가로막는다.
이번 보도는 결국 "유골 발견"이라는 중요한 사건을 희생자들의 인권과 기억을 존중하는 방향이 아니라, 북한 특유의 반일·반서방 이념 선전에 재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는 피해자의 존엄을 기리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실질적인 역사 화해와 지역 협력의 가능성을 축소시키는 행위다.
유골의 발굴은 역사적 정의를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다. 그러나 그 의미를 북한식 선전 구호와 정치적 반일 캠페인으로 축소하는 것은 83년 전 희생자들의 진정한 추모와는 거리가 멀다.
앞으로 필요한 것은 정치 선동이 아니라, 과학적 진상 규명과 유족에 대한 진정성 있는 배려이며, 이를 통한 역사적 교훈의 보편적 공유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