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조선중앙통신 44 |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최근 “인민들의 건강과 복리증진에 이바지하는 과학기술교류사업”이 평양을 비롯한 지역에서 진행되었다고 보도했다.
조선과학기술총련맹 산하의 생물제약협회와 화장품공업협회 주도로 8월 4일부터 6일까지 열린 이 행사는 생물약품의 대량생산 문제, 비누 향료 개발, 국산화 등을 다루는 토론회와 발표회로 구성되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이러한 ‘성대한 과학 행사’의 외형과 달리 북한 주민의 건강권과 생활 복지의 실상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 보여주기식 과학 토론, 실제 약품 부족은 방치
보도에 따르면 김일성종합대학과 국가과학원 생물공학분원이 새로운 의약품 개발과 생산공정 현대화를 주제로 논문을 발표했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 북한 내부에서 항생제, 해열제, 백신 등 기본 의약품조차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은 외면되었다.
탈북민 출신의 한 의학 전문가는 “북한의 시골 병원에는 진통제나 소독약조차 없는 경우가 태반이며, 대부분의 주민은 약을 구입할 돈이 없거나 비공식 시장에서 밀수약을 의존한다”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에서 "생물약품의 대량생산"이나 "의약품 개발 중심의 논문"은 전시용 선전일 가능성이 크다.
■ ‘향기 나는 비누’보다 시급한 위생환경 개선
성천군일용품공장에서 진행된 연구토론회에서는 비누 향 첨가 방법과 국산화가 논의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물 부족과 비누 자체의 부족, 심각한 위생시설 미비가 만연한 북한 실정에서 ‘비누의 향’이나 ‘지방 원료 국산화’가 과연 주민 생활에 실질적 기여를 하는지 의문이다.
국제사회는 북한의 상하수도 체계 붕괴, 전염병 확산 가능성, 기본 위생교육 부족 문제를 꾸준히 제기해왔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북한은 국경을 폐쇄하면서 외부 의약품과 위생물품 유입도 거의 차단한 상태다. 이런 환경에서 비누의 ‘향기’나 ‘디자인’을 강조하는 연구 활동은 주객전도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 주민 위한 과학 아닌, 체제 과시용 선전행사
이번 행사는 단순한 과학기술 교류가 아니라, 체제 선전의 일환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복리증진’이라는 말은 반복되었지만, 행사 어디에서도 주민의 영양상태 개선, 식수 확보, 보건교육 확대 등 근본적인 복지 문제에 대한 논의는 드러나지 않았다.
북한은 과거에도 ‘과학기술강국’을 표방하며 각종 박람회, 토론회, 전시회를 대대적으로 개최해 왔으나, 실질적으로 주민 삶은 개선되지 않았다. 오히려 ‘우상화’를 위한 무늬만 과학, 무늬만 복지 정책이 반복되며 체제의 허구성만 노출시키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 인민 건강은 수사(修辭)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
북한 당국은 ‘복리증진’이라는 수사를 반복하며 내부 과학기술 성과를 자랑하고 있지만, 실상은 기초적인 위생과 건강 문제조차 해결되지 않은 상태다.
진정한 복지는 향기 나는 비누나 학술 토론이 아니라, 주민에게 깨끗한 물, 안전한 약, 기본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인민을 위한다’는 명분이 체제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한 한, 북한의 보건·복지 실태는 결코 개선되지 않을 것이다.
김·성·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