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조선신보 36 |
일본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30일, 남포시 서해갑문해수욕장과 물놀이장이 조선로동당의 문화정책에 따라 ‘개건·증설’되었다며 인민들의 환희와 웃음소리를 강조하는 기사를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보도는 북한 체제 특유의 과장된 선전이자, 민생 현실과는 거리가 먼 ‘쇼윈도 복지’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조선신보는 “푸른 물결 출렁이는 해수욕장”과 “유희기재타기에 여념이 없는 물놀이장”을 묘사하며, 인민의 ‘희열과 랑만’을 선전했다. 하지만 북한 주민 대다수는 식량난과 전력난, 기본 의료·교육 서비스조차 제대로 보장받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다.
해수욕장이 아무리 잘 꾸며져 있다 한들, 정작 이를 누릴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 특권층이나 당의 시혜를 입은 노동단체 일부에 불과하다.
게다가 이러한 ‘문화휴식지’ 사업은 경제적 실효성이나 주민의 실질적 삶의 질 개선과는 무관하다. 북한 정권은 기본 식량 배급조차 안정적으로 운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세계식량계획(WFP)과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40%가량의 인구가 만성적인 영양실조에 시달리고 있다. 이처럼 절박한 현실 앞에서 해수욕장 리모델링은 체제 선전을 위한 전시행정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더 나아가, “시무역관리국”이 나서 “모래깔기와 물놀이기재설치”에 집중했다는 대목은, 주민들의 자율적 수요가 아닌 당국의 강제적 동원과 관주도의 전시 공사임을 짐작케 한다.
실제로 북한 내 다수의 건설·복지사업은 군인, 청년, 학생 등을 동원한 반강제적 노동으로 추진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와 인권침해는 철저히 은폐된다.
물놀이장의 웃음소리가 조선신보의 지면을 장식하고 있을 때, 노동신문과 조선중앙TV는 노동당의 위업을 칭송하는 ‘감동적인’ 현장 르포를 반복 송출하고 있다.
이처럼 북한 정권은 ‘인민의 문화생활’이라는 명분으로 내부 결속을 다지고 체제의 성과를 과시하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인권, 복지, 자유가 철저히 소외된 채 침묵하고 있는 북한 주민들의 고통이 존재한다.
결국 서해갑문해수욕장의 ‘랑만’은 북한 체제의 잔인한 현실을 잠시 가리는 인공적 장식일 뿐이다. 진정한 ‘문화생활’은 바다 모래 위의 파라솔이 아니라, 기본적인 자유와 권리, 인간다운 삶에서 출발한다.
북한이 진정으로 ‘인민의 나라’를 자처한다면, 전시용 해수욕장보다 먼저 배급소의 빈 쌀독을 채우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강·동·현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