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최근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을 겨냥해 ‘반역죄’ 및 ‘쿠데타 주도’라는 강도 높은 표현을 쏟아내며, 2016년 대선 당시 ‘러시아게이트’ 의혹을 재점화하고 나섰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2일 백악관에서 열린 필리핀 마르코스 대통령과의 회담 후 기자회견 도중 엡스타인 관련 질문을 받은 뒤, 돌연 화살을 오바마 전 대통령에게 돌렸다.
그는 오바마를 “갱단의 두목”이라고 표현하며, “그는 유죄이며, 반역죄에 해당한다. 오바마는 쿠데타를 주도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이제 시작할 때다. 그들을 뒤쫓아야 할 때”라며 수사 촉구성 발언까지 내놓았다. 이는 오바마 전 행정부가 2016년 대선 개입을 러시아가 주도한 것처럼 조작했다는 기존 주장을 재활성화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바마가 체포되는 장면을 묘사한 ‘딥페이크’ 영상을 자신의 SNS 계정에 올리며 파문을 일으켰다. 해당 영상은 인공지능(AI)으로 생성된 것으로, 오바마가 백악관 집무실에서 연방 요원들에게 체포되어 끌려가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해 오바마 전 대통령 측은 “러시아가 2016년 미 대선에 개입을 시도했지만 투표 결과 자체를 조작하지는 못했다”는 기존 결론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트럼프와 측근들이 주장하는 ‘러시아게이트 조작’설을 정면으로 반박한 셈이다.
앞서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장도 지난 18일, 오바마 행정부 인사들이 정보 조작에 관여했다며 일부 자료를 공개했다. 그러나 해당 자료의 진위 및 해석을 둘러싸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한편,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주택 양도소득세 면제를 검토 중”이라며 경제 정책 카드도 꺼내들었다.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를 강하게 촉구하면서 “금리를 1% 수준까지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연준의 파월 의장에 대해서도 “8개월 후면 나간다”고 경질을 시사했다.
이는 연준의 독립성을 훼손할 수 있는 발언으로 비판받고 있으며, 정치·경제·사법 이슈를 한꺼번에 터뜨려 지지층 결집을 노리는 트럼프 특유의 ‘연막 작전’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안·희·숙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