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 캡쳐 |
지난 6월 22일, 일본 야마구치현에서 조총련 결성 70주년을 기념한다는 명목으로 열린 ‘조일친선의 모임’이 사실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대외 선전 장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해당 행사는 재일조선인 단체인 조총련 야마구치현본부 주관으로 열렸으며, 일본인사와 재일동포 약 110명이 참석했다.
행사 1부에서는 과거 일본 내 조선인 노동자의 피해를 상징적으로 다루는 ‘장생탄광 수해 유골 발굴’ 보고가 있었으며, 이를 계기로 “조일국교정상화 실현”이라는 정치적 구호가 반복됐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해당 유골 발굴이 인도적 사안으로 이용된 동시에 북한 정권에 대한 일본 내 정치적 여론 조작을 시도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井上洋子(이노우에 요코)라는 단체 대표는 “유가족의 고령화 속에서 하루라도 빨리 유골을 안겨줘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발언의 초점은 곧장 ‘과거 일본의 책임’과 ‘북한과의 수교 필요성’으로 전환됐다. 이는 북한이 국제사회에서 받고 있는 인권 문제 및 군사도발에 대한 비판을 외면한 채, 일방적 피해자 프레임을 내세워 일본 정부를 압박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총련본부 리수복 위원장은 보고에서 “70년 동안의 민족운동 성과”를 강조하며, 일본 정부에 조속한 국교 정상화를 촉구했다. 그러나 이러한 발언은 북일 관계의 핵심 장애물인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 핵·미사일 위협, 인권 탄압 문제를 철저히 외면한 일방적 주장이라는 지적이 뒤따른다.
실제로 이번 행사에서 ‘조일국교정상화’를 외친 구호는 조총련의 기존 선전 노선과 동일한 맥락에서 추진된 것으로, 한반도 내 북한 정권에 우호적 여론을 유도하려는 선동적 성격이 짙다.
이에 대해 일본 시민단체 관계자는 “일본 내에서 북한의 실상을 왜곡하거나 미화하는 활동이 반복되고 있다”며, “정치적 선동이 아닌, 객관적 진실을 바탕으로 한 한일·북일 관계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북한의 과거사 문제를 일방적으로 해석하며 조일 수교를 촉구하는 이번 모임은, 일본 시민사회의 경계와 함께 국제사회의 냉철한 대응이 요구되는 지점이다.
차·일·혁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