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분 위장 북한 IT인력 |
북한이 중국에 수십 개의 유령 회사를 세우고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 기업들을 속여 정보기술(IT) 인력을 위장 취업시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인력은 고소득을 올려 북한의 미사일 프로그램 자금으로 흘러들어간 정황도 포착됐다.
미 인터넷매체 악시오스는 13일(현지시간) 미국 사이버 보안업체 스트라이더 테크놀로지스(Strider Technologies)의 최신 보고서를 인용해, 북한이 중국을 거점으로 최소 35개의 유령회사를 운영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들 회사는 미국 내 주요 기업과 계약을 맺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유령회사는 모두 중국에 본사를 둔 업체로, 대부분 랴오닝성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미국 재무부의 제재 대상인 '랴오닝 중국 무역'과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랴오닝 중국 무역은 지난 1월 북한 인민무력성 산하 53부에 IT 장비를 공급한 혐의로 미 정부의 제재를 받은 바 있다.
스트라이더는 특히 '단둥 데윤 무역', '광저우 아이이시 무역', '융핑 주오런 광업' 등 3곳을 지목하며, 이들이 북한에 자금과 장비를 우회적으로 지원하는 데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회사들은 각각 섬유·전자제품, 화장품·의류, 광물·건축자재 도매업체로 위장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IT 인력을 수출하고 있었다는 것이 보고서의 핵심이다.
북한의 이 같은 위장 취업 전략은 단순한 외화벌이에 그치지 않고, 고도화된 산업 스파이 활동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스트라이더의 CEO 그레그 레베스크는 악시오스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IT 인력의 활동이 단순한 임금 수령에서 기업 비밀과 지식재산권 수집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이 산업의 규모와 파급력은 우리가 초기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광범위하다”고 덧붙였다.
미국 정부는 포천 500대 기업 대부분이 이러한 북한 IT 노동자의 침투로 직·간접적 위협을 받고 있다고 평가하며, 지속적인 감시와 제재 조치를 예고했다.
북한은 과거부터 IT 인력을 통한 외화 확보에 집중해왔으며, 유엔과 미국은 이를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프로그램과 직접적으로 연관 지어왔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위장취업과 기업 침투 행위가 국가 안보와 글로벌 산업 전반에 심각한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김·도·윤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