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북한의 암호화폐 해킹과 사이버 범죄 문제가 주요 의제로 논의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블룸버그통신은 7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의 사이버 작전이 정권의 핵·미사일 개발 자금과 직결되고 있어 정상회의에서 이 문제가 심도 있게 다뤄질 수 있다”고 전했다. 다만 아직 회의 의제가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논의 가능성은 북한의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계가 높아지고 있음을 반영한다.
실제로 북한과 연계된 해킹 조직 ‘라자루스(Lazarus)’는 올해 2월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비트(Bybit)로부터 이더리움 약 14억6천만 달러(약 2조1천억 원)를 탈취했으며, 이 중 약 3억 달러(약 4천400억 원)를 현금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BBC는 지난 3월, “북한 해커들은 2023년 한 해 동안 최소 47건의 해킹 공격을 통해 13억4천만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를 탈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북한은 해외 IT 인력을 위장 취업시키는 수법으로 외화벌이를 지속하고 있다. 이들은 미국 등 서방국가에 위장 취업한 뒤, 급여를 북한 정권에 송금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유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따라 미국 국무부는 지난해 말 북한 IT 인력의 해외 송출과 돈세탁에 연루된 중국·러시아 소재 조직에 대해 최대 500만 달러(약 71억 원)의 현상금을 내걸고 제보를 요청했다.
G7 회의에서 이 문제가 공식 의제로 다뤄질 경우, 북한의 디지털 금융 범죄 차단을 위한 선진국 간 공조 방안이 본격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제재 회피 수단으로 사이버 해킹을 더욱 강화하고 있는 만큼, G7 차원의 전략적 대응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도·윤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