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자 제공 |
중국 공산당이 해외에 거주하는 반체제 인사를 대상으로 감시와 협박을 포함한 국경을 넘는 탄압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프랑스 유력 일간지 《르 몽드》는 최근 보도를 통해 중국 당국이 해외 교포 사회, 특히 반체제 인사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중국 통일전선부의 역할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1989년 톈안먼 사건 이후 해외로 망명한 반체제 인사들에 대한 관심은 점차 높아졌다. 중국 정부는 이들에 대한 통제 수단으로 협박, 가족에 대한 괴롭힘, 정서적 압박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는 프랑스에 거주하는 티베트 활동가 투덴가초(Thupten Gyatso)다. 그는 1998년부터 파리에 정착해 티베트인 커뮤니티를 이끌며 중국의 티베트 정책을 비판해왔다.
하지만 최근 그는 중국으로부터의 감정적 압박에 직면해 있다. 그의 형은 티베트에 살고 있으며, 지속적인 경찰 방문과 감시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2024년 5월 5일, 투덴가초는 파리 중심부에서 열린 시위를 조직하고 연설했다. 불과 사흘 뒤, 그의 WhatsApp에는 이른 아침부터 중국 번호로 된 수차례의 부재중 전화가 기록됐고, 이어 그의 형이 "당신이 어리석은 일을 하지 않기를 바란다"는 메시지를 남겼다. 이는 중국 당국이 가족을 통해 간접적으로 협박을 가하는 전형적인 방식이다.
유사한 사례는 또 있다. 같은 달 8일, 시진핑 주석의 프랑스 방문 직후, 파리에서 활동하는 위구르인 인권운동가 굴바하 잘릴로바(Gulbahar Jalilova)의 자택 앞에는 정체불명의 중국인들이 등장했다. 이들은 검은 밴을 타고 도착했으며, 그중 적어도 한 명은 중국 공무 여권을 소지한 인물로 드러났다. 다행히 당시 외출 중이던 그녀는 이들을 피해 경찰에 신고했고, 현지 경찰은 즉시 조사를 착수했다.
프랑스 내부안전청(DGSI)은 이와 같은 국경을 넘는 탄압이 주로 원격으로 이루어지며, 피해자의 거주국 내에서도 법적 회색지대에 놓여 있어 대응이 쉽지 않다고 밝혔다. 피해자들은 가족의 안전을 우려해 신고를 꺼리는 경우가 많고, 때로는 자신이 거주하는 국가의 대응 방식에 신뢰를 두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프랑스 정부 또한 이 문제를 심각하게 보고 있다. 내무부 안전총국은 “피해 사례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위협 행위가 외국 정부의 조직적인 탄압일 경우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보도를 통해 중국의 해외 탄압 전략이 유럽 중심지까지 뻗어 있음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국경을 넘어 이어지는 협박과 감시 속에서, 반체제 인사들과 그들의 가족은 여전히 위험에 놓여 있는 상황이다.
장·춘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