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도 국기가 그려진 아이폰 - 독자 제공 |
애플(Apple)이 아이폰 생산기지를 중국에서 인도로 본격적으로 이전하려는 계획이 중국 당국의 방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속되는 미중 무역 갈등 속에서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는 애플은, 인도 내 생산 비중을 대폭 확대할 방침이지만 중국의 저항에 직면해 있다.
《파이낸셜 타임스》에 따르면, 애플은 이르면 내년 말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 전량을 인도에서 조립할 계획이다. 이는 현재 인도에서 조립되는 연간 3,000만~4,000만 대 수준을 두 배로 늘리는 것으로, 전 세계 아이폰 생산량의 절반가량을 중국 외 지역에서 담당하게 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그러나 이 같은 계획은 예상보다 순조롭지 않다. 중국 당국이 아이폰 제조에 필요한 장비의 인도 반출을 지연시키거나 거부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고정밀 레이저 기계, 방수 테스트 스테이션, 패치 기계와 같은 핵심 장비의 수출 승인 과정이 길어지면서, 일부 장비는 승인까지 최대 4개월이 소요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애플의 중국 공급망 사정에 밝은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 지방 정부는 애플 공급망에 속한 제조업체들에게 현지 고용을 축소하지 말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인력 유출로 인한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애플이 생산기지 다변화에 나선 배경에는 2019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중국 내 엄격한 봉쇄 조치로 공급망이 심각하게 혼란을 겪었던 경험이 있다. 이후 미국 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애플은 생산 리스크를 분산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애플은 중국 외 지역에서 제조장비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일본, 한국, 대만 제조업체로부터 장비를 고가에 구매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일부 중국 공급업체들에게는 동남아시아에 생산 거점을 마련할 것을 독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이번 계획에 대한 공식 논평을 거부했지만,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이 앞으로도 순탄치 않을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미중 갈등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애플의 인도 집중 전략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주목된다.
장·춘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