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자 제공 |
미중 간의 관세 전쟁이 더욱 격화되는 가운데,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의 동남아 순방이 오히려 역효과를 낳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을 돌며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시 주석의 외교 공세는 미국과의 긴장 속에서 흔들리는 중국의 입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으로 해석된다.
최근 싱가포르의 전 총리이자 테마섹 홀딩스의 전 집행이사인 허징 여사는 자신의 SNS에 시진핑에 대한 비판적 기사를 공유하며, 그를 “조직폭력배 보스처럼 행동한 인물”이라고 직격했다.
이 기사에서는 시 주석이 집권 12년 동안 주변국들에게 “거부할 수 없는 제안”을 반복해왔으며, 이제 와서 이들 국가와의 우호적 관계를 바란다는 것은 터무니없다고 꼬집었다.
중국은 오랜 기간 동안 남중국해에서의 영유권 주장을 앞세워 아세안 국가들과의 긴장을 고조시켜 왔다. ‘구단선’ 강요, 군사 기지 건설, 해경선 동원 등 일련의 행동은 지역 내 신뢰를 잃게 만든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동시에 중국 내 시장 폐쇄, 외국 기업 배제, 기술 이전 강요 등은 세계무역기구(WTO) 체제의 원칙에 반하는 행보로 국제사회의 우려를 사고 있다.
그런 가운데 미국은 중국 기업들이 동남아를 통해 우회 수출을 시도한다는 정황을 포착하고, 태양광 패널 등 주요 품목에 대해 최대 3521%에 달하는 고율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 조치는 중국의 '산지 세탁' 수법을 차단하고, 공정한 무역 질서를 수호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동남아 국가들도 점차 미국과의 협력 강화 쪽으로 기울고 있는 분위기다. 중국의 저가 제품에 의해 자국 산업이 붕괴 위기에 처하면서, '일대일로' 프로젝트와 같은 중국 주도의 투자에 대한 회의감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제는 중국이 오히려 외면당하고 있으며, 이는 시진핑 체제의 외교적 실패를 반영하는 단면”이라고 지적한다.
일각에서는 시 주석이 스스로 물러나 중국 공산당의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 유일한 출구일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중국 공산당의 체제 자체가 위기의 근원인 만큼, 지도자 교체만으로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회의적 시각도 적지 않다.
국제 정세가 급변하는 가운데, 중국의 외교 고립과 동남아시아의 전략적 선택은 미중 경쟁의 향방에 중대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장·춘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