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언하고 있는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
윤석열 대통령은 작년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당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과의 통화가 계엄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이는 탄핵심판 5차 변론에서 홍 전 차장의 증인 신문 후에 나온 발언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헌법재판소에서 "첫 번째 전화는 조태용 국정원장이 미국 출장 중인 것으로 잘못 알고 홍 전 차장에게 전화를 걸어 '국정원장 부재니 잘 지켜라'고 말했다"며 통화의 배경을 설명했다.
두 번째 전화에 대해서는 "국무회의가 끝난 후, 격려 차원에서 전화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 통화에서 방첩사와의 협력을 언급하며 간첩 검거와 관련된 논의를 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에게 '싹 다 잡아들이라'는 지시를 받았다"며, 체포 대상자의 위치 추적을 요청받았다고 증언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계엄이 선포되면 방첩사가 국정원의 우위에 있다"며 홍 전 차장의 주장을 반박했다. 그는 "국정원은 수사권이 없고, 위치 추적을 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날 증인신문에서 윤 대통령은 홍 전 차장의 발언에 반박할 때 다소 흥분한 듯한 모습을 보였고, 책상을 내려치는 등의 행동을 보였다. 반면,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의 전화가 비상계엄과 관련된 긴급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에 의문을 제기하며 "그 시간에 격려 차 전화를 하신다, 그 시간에?"라고 반문했다.
윤 대통령은 또한, "탄핵과 내란 몰이가 시작된 것은 홍 전 차장이 작성한 메모가 국회에 전달된 이후부터"라고 주장하며, 자신이 조 원장의 건의를 받아들여 홍 전 차장 해임안을 결재한 이후 폭로가 시작됐다고 강조했다.
이날 변론은 윤 대통령이 직접 증인에게 질문하는 것이 금지된 상황에서 진행되었으며, 증인신문 내내 주로 증인의 발언을 경청하는 모습을 보였다.
국정원 최고위직 간부가 대통령과 통화한 내용을 민주당 한 의원에게 전달한 사안을 두고 한국자유회의 최이상 기획위원은 “해당 의원은 국민들로부터 북한 간첩이 아닌지 수많은 고소 고발의 당사자”라며, “그런 反국가 의심 세력에게 보안을 생명으로 하는 대통령과의 통화내역을 전달하는 것이야말로 내란에 해당하는 중대 사안”이라고 말했다.
김·희·철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