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 명령에 서명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최근 멕시코와의 국경 통제를 강화하겠다는 약속을 받으며, 예정되어 있던 대멕시코 25% 전면 관세를 한 달 유예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캐나다 정상 간 통화 전에 발표한 조치로, 관세 부과의 직접적인 시행이 연기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의 군병력 배치 약속을 언급하며, 관세 부과가 단순한 경제적 조치가 아닌 국경안보와 마약 단속을 위한 압박 수단임을 강조했다. 이는 그가 관세를 통해 미국의 중대한 사회 문제 해결에 협조를 이끌어 내려는 의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관세 부과 유예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두 가지 분석을 낳고 있다. 첫째, 관세 부과의 본질적 목적이 아닌 극한 압박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글로벌 무역 전쟁에 따른 미국 경제의 타격과 물가 상승 우려로 인해 시간을 벌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에도 '충격과 공포' 전술을 통해 상대국에 압박을 가해 원하는 결과를 이끌어낸 바 있다. 이번 유예 결정 역시 이러한 접근 방식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후퇴로 해석하기에는 이르며, 관세를 활용한 무역적자 문제 해결과 제조업 회귀를 위한 기본 구상은 여전히 유효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미국이 세계 여러 국가로부터 '갈취당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공격적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재확인했다.
특히 유럽연합(EU)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도 시사하며, 언제든지 '관세 전쟁'을 시작할 수 있다는 긴장감을 조성하고 있다.
결국, 각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무기화' 전략에 대비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으며, 그에 따른 치밀한 외교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안·희·숙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