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대한민국... 이대로는 안된다.

- 대한민국 해체 법안 막을 방법 ‘거부권’ 밖에...
- 거부권’ 행사 없는 정부, 생각만 해도 끔찍해

 

본지는 지난 6월 1일자 보도에서 “22대 국회 내내 이래야만 한다"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한 바 있다. 당시 기사는 한겨레신문의 『‘거부권’ 신기록 세운 윤 대통령, 22대 국회 내내 이럴 건가』 라는 자가당착적인 사설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이루어졌었다.

 

한겨레 사설의 핵심내용은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정략적이라고 비판하며, 이를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행동으로 몰아가고 있다’는 것이었는데, 본지는 "현 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세력들이 남발하는 ‘특검법’이나 ‘민주유공자법’ 외에도 민생을 빙자해 막무가내로 ‘아니면 말고’ 식의 법치 훼손에 고스란히 그 폐해를 떠안아야 할 국민의 안위는 누가 책임질 것인가. 따라서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는 삼권분립의 핵심 요소로서, 입법권의 남용을 견제하고 국민의 권익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요지의 반박이었다.

 

지금 돌이켜보면 안타깝게도 예언은 그대로 실현되고 있는 중이다. 심지어 이대로는 ‘공산주의’ 법 제정도 막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암울한 현실조건에서 대통령 ‘재의요구권’, 즉 ‘거부권’이 존재하지 않거나 이를 행사할 수 없는 정부였다면, 그야말로 ‘적화(赤化)’의 완성으로 치닫게 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런 차원에서 보면 윤석열 정부 존재 자체가 대한민국으로서는 참으로 고마울 따름이다.

 

최근과 같이 대한민국 국회에서 탄핵이 남발되고, 각종 표풀리즘 정책들이 마구잡이로 통과되는 상황에서 민주주의의 근본 원리인 삼권분립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이는 국가의 존립 자체에 대한 위협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대통령의 ‘재의요구권’, 즉 ‘거부권’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대통령 거부권은 단순히 법안을 무효화하는 기능을 넘어, 국회의 무분별한 입법 행위를 견제하고 민주적 절차를 지키기 위한 중요한 장치임에 분명하다.

 

현재 여야의 의석 구도는 특정 법률안이 통과되는 데 아무런 장애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심지어 국가의 체제를 변경하려는 ‘공산주의 법률안’이 발의되더라도, 이를 제지할 수 있는 것은 대통령 거부권 외 다른 방도는 없다.

 

또한 대한민국 체제가 위협받는 현 시기의 대통령 거부권은, 정치적 대립을 넘어 국민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통로가 되고 있기도 하다. 현재의 정치 환경에서는 여야 간의 갈등이 극에 달해 있지만, 거부권의 존재는 이러한 갈등 속에서도 국민의 안전과 권리를 최우선으로 고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정치적 책임을 다하는 정치 문화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기에, 대통령의 거부권은 단순한 권력의 행사라기보다,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건강성을 유지하고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헌법적 장치로 칭송받아 마땅하다 할 것이다.

 

<論 說 委 員 室>

핫 뉴스 & 이슈

조선신보, NK뉴스 저작권 침해 주장…“무단 전재 중단 요구”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인 조선신보가 6일 미국의 북한 전문 매체 NK뉴스가 저작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했다. 조선신보는 이날 발표한 기사에서 NK뉴스가 자사의 유료 콘텐츠를 사전 허가 없이 수집하여 공개한 사실을 언급하며, 이에 대한 항의 후 해당 콘텐츠가 삭제되었다고 밝혔다. 조선신보는 NK뉴스의 모회사인 코리아 리스크 그룹에 무단 전재 중단과 사과 및 배상을 요구하는 통지문을 전달했으며, 코리아 리스크 그룹은 이를 "소프트웨어 개발 오류로 인한 의도치 않은 실수"라고 해명했다. 이후 NK뉴스의 웹사이트에서 조선신보의 기사와 사진이 삭제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조선신보는 NK뉴스가 조선중앙통신, 조선중앙TV,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등 북한의 관영 매체 저작물도 무단으로 전재하고 있으며, 이를 반공화국 선전에 악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조선신보는 "우리나라의 신문, 통신, 방송 및 출판물은 인터넷과 위성방송을 통해 전 세계에 전파되지만, 이들 저작물은 모두 저작권이 존재한다"며, 제3자의 무단 전재는 허용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건은 국제적인 저작권 문제를 다시 한 번 부각시키며, 북한 매체의 저작권 보호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조선신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