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일본 어패류 수입액이 1억7천만달러 수준으로 후쿠시마(福島) 원전 사고 이후 일본 어패류 수입액이 4년 정도 줄다가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는 원전 사고 이후 최대를 기록한 것이다.
23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어패류 수입액은 전년보다 12.2% 증가한 1억7천415만달러(2천260억원)로 원전 사고가 발생하기 직전 해인 2010년(2억1천221만달러) 이후 12년 만의 최대를 기록했다.

2011년 3월 11일 일본 원전 사고가 나자 한국 정부는 그해 9월 후쿠시마 등 주변 8개 현 모든 어종의 수산물 수입을 금지하는 특별 조치를 단행했다.
지난해 일본 어패류 수입액은 러시아 연방(14억1천570만달러), 중국(10억2천563만달러), 베트남(6억7천681만달러), 노르웨이(5억9천261만달러), 미국(2억2천498만달러)에 이어 6위 수준이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전인 2010년에는 중국과 러시아 연방, 베트남에 이어 4위였다.
일본 정부가 올해 봄이나 여름께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예고한 상황에서, 최근 한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윤석열 대통령에게 후쿠시마 수산물에 대한 수입 규제 철폐를 요구했다는 일본 언론 보도가 나오면서 일본 수산물 안전에 대한 우려는 적지 않은 상황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지난 20일 브리핑에서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과 관련하여 "만일 우리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위협하는 일이 있다면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우리 정부의 입장은 명확하다고 말했다.
최근 한일회담등으로 본격적인 관계개선 움직임이 활발히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의 일본 원전 수산물 수입을 거론하는 것은 이를 방해하려는 정치적인 계산이 깔려있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한 북한관련 시민단체 관계자는 "일본 원전 사고보다 훨씬 우리국민들에게 치명적인 북한산 방사능 피폭 수산물, 버섯류들이 중국산 등으로 버젓이 판매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 특히 야당에서 아무런 문제제기 없이 외면하고 있는 것은 이 또한 정략적으로 보고 있다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김 · 성 · 일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