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러, 동해서 잠수함 격침 합동훈련

- 홍콩 매체 “러시아, 중국 무기 체계가 달러 협력에 한계”

 

중국과 러시아가 다국적 군사훈련인 '보스토크(동방)-2022' 일환으로 동해에서 잠수함 격침 합동 훈련을 진행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전했다.

 

러시아 관영 스푸트니크 통신은 러시아 국방부가 지난 4일 배포한 자료를 인용해 "러시아와 중국 소함대가 적의 잠수함 탐지에 나섰다"며 "러시아군 대잠용 Ka-27PL 헬기가 수상한 목표물의 신호를 탐지했고 이후 모의 공격이 진행됐다"고 전했다.

 

중국은 지난 1일 러시아 극동에서 시작된 보스토크-2022에 약 2천명의 병력과 최신예 구축함, 전차, 전투기 등을 파견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지난주 러시아와 중국 전함이 동해에서 대잠, 대공, 대함 방어 훈련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또한 러시아 국방부는 5일 러시아와 중국 군함이 방공포 시스템을 활용해 적의 공습을 격퇴하는 훈련을 펼쳤다고 밝혔고, 이어 6일에는 러시아 태평양함대가 칼리버 크루즈 미사일을 발사해 300㎞ 이상 떨어진 목표물을 성공적으로 타격했다며 해상 훈련 영상을 공개했다.

 

이번 보스토크 훈련은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 등 서방의 압력에 맞서 밀착하는 가운데 이뤄져 더욱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중국과 러시아 간 군사 협력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고 SCMP는 전했다.

 

대만 해군사관학교 교관 출신 군사전문가 루리시는 러시아 전자전함이 보스토크 훈련에 참가해 인민해방군을 불편하게 만들었을 수 있다며 두 나라 간 군사 협력은 '투쟁'이었을 수도 있다고 봤다.

 

그는 "러시아는 이번 훈련 지휘함으로 미사일 사거리 추적함인 마셜 크릴로프를 배치했는데 이에 인민해방군의 최신예 055형 구축함 난창함이 레이더 체계가 다른 첨단 장비를 가동하며 경계하느라 분주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러시아 군함이 중국 구축함으로부터 자료와 가치있는 정보를 수집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마카오 군사 전문가 앤서니 웡도 중·러 간 군사 관계는 보이는 것만큼 가깝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종류의 합동 훈련은 실제 해군 합동 훈련이라고 규정할 수 없다. 인민해방군 함대와 러시아 함대는 어떤 실질적인 합동 작전도 수행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차 · 일 · 혁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북, '9·19합의 파기' 책임 전가... 대남 협박 강화
북한은 3일 한국의 9·19 군사합의 일부 조항 효력 정지로 한반도 정세가 극도로 악화했다면서 대한민국의 적대 행위는 '완전소멸'로 이어질 것이라고 위협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 보도에 따르면 군사논평원은 "지난 5년간 유지되어오던 군사분계선 완충지대는 완전히 소멸되고 예측할 수 없는 전쟁 발발의 극단한 정세가 팽배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올해 들어 10월까지 한국이 전방지역에서 수천회 확성기 방송 도발과 군함·정찰기의 영해·영공 침입을 감행했다면서 "적들이 북남군사분야합의를 난폭하게 위반한 사실들을 입증할 수 있는 각종 증거물들이 충분하다"고 강변했다. 또한, 전날 한국의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언급, "우리의 위성발사가 북남군사분야합의서에 대한 '위반'으로 된다면 (중략) 이미 정해진 11월 30일에서 12월 2일로 미루면서도 미국상전에게 기대여 끝끝내 실행한 군사정찰위성발사는 어떠한가"라며 "그 어떤 철면피한도 이를 '합의준수'라고 우겨댈 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통신에 따르면, 군사합의 효력 정지가 한국군이 직접 대북전단을 살포하는 등 대북심리전을 본격 강행하기 위해서라며 "적들이 시도하는 우리측 지역에 대한 무인기투입과 삐라살포는 전쟁도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