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반도체법 지원, 안보위한 것…규정 위배해 中 투자시 회수"

- 내년 2월 개별기업 지원금 접수…"지원금, 對中투자에 사용금지“
- 조 바이든, 약 366조 원을 투입하는 ‘반도체지원법’에 서명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은 반도체 지원법과 관련, "법 시행의 첫 번째 목표는 미국의 국가 안보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러몬도 장관은 이날 백악관 브리핑에서 내년 2월 이전에 기업들로부터 지원금 신청을 받을 계획이라고 소개한 뒤 "내년 봄에는 개별 기업에 지원금이 지급되길 희망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러몬도 장관은 반도체 지원법상 대중 투자 제한 문제와 관련, "만약 기업들이 돈을 받는다면 기업들은 그 돈을 중국에 투자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면서 "기업들은 10년간 중국에 첨단 제조시설을 짓지 못하며 만약 '머추어 노드(mature node·40나노미터 이상)' 공장을 확장한다면 중국 시장에만 판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기업들이 지원금을 받고 이 중 어느 것이라도 (위배)하면 지원금은 회수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러몬도 장관은 "미국은 전 세계 첨단 반도체의 25%를 사용하고 있으나 미국 내 생산하는 물량은 없다"면서 "미국은 '머추어 노드' 반도체를 30% 소비하면서 13%만 미국 내에서 생산하는데 이 반도체에 대한 충분하고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이 이미 대중 투자 계획을 발표했을 경우 영향을 묻는 말에 대해서는 "개별 기업별로 심사할 예정"이라면서 구체적인 답변은 피한 뒤 "미국 국가 안보를 해치는 어떤 지원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9일 미국 내 반도체 시설 건립 지원(390억 달러)을 비롯해 미국의 반도체 산업 발전과 기술적 우위 유지를 위해 모두 2천800억 달러(약 366조 원)를 투자하는 것을 골자로 한 반도체 지원법에 서명했다.

 

이 법에는 구체적으로 미국 정부로부터 지원금을 받으면 10년간 중국 공장에 첨단 시설 투자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분야는 28nm(나노미터·1㎚는 100만분의 1㎜) 미만은 중국에서 신규 투자를 하지 못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지난달 25일 행정명령을 통해 반도체 지원법 시행을 촉진하기 위해 관련 부처가 참여하는 조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국가안보 기여 등 포괄적인 지원 기준을 제시했다.

 

장 · 춘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북, '9·19합의 파기' 책임 전가... 대남 협박 강화
북한은 3일 한국의 9·19 군사합의 일부 조항 효력 정지로 한반도 정세가 극도로 악화했다면서 대한민국의 적대 행위는 '완전소멸'로 이어질 것이라고 위협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 보도에 따르면 군사논평원은 "지난 5년간 유지되어오던 군사분계선 완충지대는 완전히 소멸되고 예측할 수 없는 전쟁 발발의 극단한 정세가 팽배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올해 들어 10월까지 한국이 전방지역에서 수천회 확성기 방송 도발과 군함·정찰기의 영해·영공 침입을 감행했다면서 "적들이 북남군사분야합의를 난폭하게 위반한 사실들을 입증할 수 있는 각종 증거물들이 충분하다"고 강변했다. 또한, 전날 한국의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언급, "우리의 위성발사가 북남군사분야합의서에 대한 '위반'으로 된다면 (중략) 이미 정해진 11월 30일에서 12월 2일로 미루면서도 미국상전에게 기대여 끝끝내 실행한 군사정찰위성발사는 어떠한가"라며 "그 어떤 철면피한도 이를 '합의준수'라고 우겨댈 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통신에 따르면, 군사합의 효력 정지가 한국군이 직접 대북전단을 살포하는 등 대북심리전을 본격 강행하기 위해서라며 "적들이 시도하는 우리측 지역에 대한 무인기투입과 삐라살포는 전쟁도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