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중, 가스대금 달러 대신 루블·위안화로 결제

- 가스프롬 “러시아와 중국 쌍방에 이익될 것”
- 2014년, 30년동안 475조 2천억원 규모 가스공급계약 체결해

 

러시아 국영 가스회사 가스프롬은 가스 판매대금을 달러에서 루블·위안화로 대체하기로 중국과 계약했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알렉세이 밀러 가스프롬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결정을 발표하면서 가스프롬과 중국석유천연가스그룹(CNPC) 쌍방에 이익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이번 계약으로 계산이 단순해질 것"이라며 "다른 회사에 모범 사례가 되는 동시에 우리 경제 발전을 위한 추가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가스프롬은 계약의 구체적 내용이나 실제 적용 시기 등 세부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조치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의 제재에 대응하고자 달러·유로화 의존도를 줄이고 루블화 가치를 높이려는 러시아의 계획에 따른 것이다.

 

러시아는 서방의 제재 이후 러시아산 가스를 공급받는 유럽 국가들에 루블화로 대금을 지급하도록 요구했고, 이에 응하지 않은 일부 국가에 대해서는 계약 위반을 이유로 가스 공급을 중단했다.

 

앞서 가스프롬과 CNPC는 지난 2014년 연 380억㎥의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30년 동안 중국에 공급하기 위한 대규모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 계약은 4천억 달러(475조2천억원)에 이르는 엄청난 계약금으로 '세기의 계약'으로 불리기도 했다.

 

계약 체결 후 러시아는 시베리아 '차얀다 가스전'에서 중국으로 이어지는 길이 2천km 이상의 '시베리아의 힘' 가스관을 건설해 2019년 12월부터 중국에 가스 공급을 시작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 가스관의 개통에 대해 "세계 에너지 시장뿐만 아니라 러시아와 중국 모두에 역사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앞서 러시아와 중국은 지난해 9월부터 항공기 급유 대금과 관련해 달러 대신 위안화와 루블화를 쓴다고 밝힌 바 있다. 러시아의 가스프롬 네프트와 중국 국영 항공연료 간 합의로 양국 항공사들이 상대국 공항에서 급유할 때 현지 화폐로 결제하고 있다.

 

중·러 양국의 이런 시도는 '달러 패권'에 대한 도전이라는 분석을 낳고 있다.

특히 미국과 서방이 지난 2월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제재로 러시아를 금융 결제망인 스위프트(SWIFT·국제은행간통신협회)에서 배제하면서 중·러 양국의 달러 패권 도전이 노골화하고 있다. 러시아는 SWIFT 퇴출 이후 각 국에 가스대금의 루불화 지불을 요구해왔다.

 

이런 영향으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개시 전인 지난 2월에는 중국 본토를 제외하고 위안화를 많이 사용하는 국가 월간 순위에 아예 포함되지 않았으나, 지난달 18일 발표된 순위에선 홍콩, 영국에 이어 3위에 올랐다.

 

김 · 정 · 훈 <취재기자>

핫 뉴스 & 이슈

러시아, 불법 점령지서 첫 징집 실시 예정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여 불법적으로 자국 영토로 편입시킨 러시아가, 곧 점령지 주민들을 우크라이나를 상대하는 병사로 징집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10월 1일부터 러시아 연방 전역에서 가을 징집이 시작될 것이라며, 징집 대상지역으로는 작년 9월 자국 영토로 선언한 도네츠크, 헤르손, 루한스크, 자포리자 등 우크라이나 4개 점령지도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러시아가 지금까지도 우크라이나 점령지를 자국 영토라고 언급하는 이유는, 작년 9월 전쟁 개시이후 점령한 4개 지역에서 5일간 주민투표를 진행했고, 해당 지역 선거관리위원회들은 87~99%의 압도적 찬성으로 러시아 합병이 가결됐다고 밝힌 것에 기인한다. 다시 말해 해당지역의 주민들이 투표를 통해 스스로 러시아에 편입하기를 원했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4개 점령지 대표와 합병조약을 체결, 러시아 연방 편입을 선언한 것을 근거로 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당사국인 우크라이나와 국제사회는, 해당지역을 점령한 후 러시아군대의 강압적인 분위기속에서 주민들에게 찬성표를 던지도록 강요한 정황이 있다는 이유로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필두로 빼앗긴 영